포스코 설립 55년 만에 첫 파업 긴장감이 높아졌으나 31일 새벽 노사가 극적인 잠정합의안을 도출해내면서 일단 한 고비를 넘긴 상태다. 하지만 노조 측은 잠정합의안을 놓고 조합원들의 찬반투표를 거쳐 최종 수용 여부를 결정할 것으로 알려져 아직 긴장감을 놓을 수 없는 상황이다. 이날 새벽 극적인 잠정 합의안이 도출됨에 따라 1968년 창사 이후 첫 파업 기로에 선 포스코 노사간의 갈등이 일단 봉합 국면에 접어들었다. 잠정합의안에 대한 조합원들의 투표 결과가 부결 가능성도 아직 남아있지만 중노위 조정을 거쳐 어렵게 마련한 합의안인 만큼 찬성 가능성에 무게감이 실리고 있다. 포스코 노사는 지난 30일 오후 3시부터 자정을 넘기면서까지 좀처럼 합의점에 도달하지 못하며 막판 진통을 겪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새벽 3시쯤 노사 협의가 급물살을 타며 잠정 합의안이 도출됐다는 것이다. 올해 교섭은 포스코 직원뿐만 아니라 고객사, 협력사, 지역사회 등의 관심과 우려 속에서 진행됐는데 노사가 함께 원만한 교섭 타결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한 끝에 이번 잠정합의안이 도출돼 그나마 다행이다. 이번 잠정합의안의 주요내용(△기본임금(Base-Up) 10만원 인상(자연상승분 포함 17만원 수준), △주식 400만원 지급, △일시금(비상경영 동참 격려금) 250만원, △지역상품권 50만원, △격주 4일 근무제도 도입, △경영성과금제도/직무급제 도입/복리후생 재설계 등)을 보면 노조 측에서도 큰 불만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조합원 합의안 찬반투표에서도 가결이 예상된다. 포스코 측은 “어려운 회사 여건에도 불구하고 임단협 교섭의 조속한 타결을 위해 예년 대비 높은 임금인상률을 제시했다”면서 “잠정합의안 조합원 투표 절차까지 원만하게 마무리되기를 희망한다”고 했다. 창사 55년 만의 파업 수순에 돌입했던 포스코 노조가 31일 사측과 임단협 협상안에 잠정 합의하면서 포항지역사회도 한 목소리로 반기며 안도하고 있다. 이번 노사간 잠정합의안이 도출되기까지 포항제철소 협력사협회, 파트장협의회, 포항상의, 포항JC 등 포항지역사회가 한목소리로 파업 우려를 표명한 것도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이제 잠정합의안이 도출된만큼 노조도 하루빨리 수용여부를 결정해 주기 바란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