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신일권ㆍ조준영기자]포스코 포항제철소 협력사협회, 포항제철소 파트장협의회에 이어 포항JC(청년회의소) 특우회도 포스코 노조의 파업 쟁의행위 가결에 깊은 우려를 표명하는 등 포항지역사회가 한목소리로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포스코 노조는 지난 28일, 29일 양일간 모바일 투표로 진행한 2023년 쟁의행위 찬반 투표에서 총 1만1145명 중 1만756명(96.51%)이 참여해 찬성 8367명(77.79%) 반대 2389명(22.21%)으로 쟁의행위를 가결했다. 노조의 쟁의행위가 가결된 것은 창사 55년 만에 처음이다.
상황이 이렇자 포항지역 대표 청년단체인 포항JC가 포스코 노조의 파업 쟁의행위 가결에 우려감을 표시하고 나섰다. 포항JC의 성명서는 이번이 처음으로 다른 시민단체들의 성명도 잇따를 것으로 보인다.
포항JC는 30일 포스코 노사의 상생 화합을 위한 성명서를 통해 포스코가 없는 포항은 존재할 수 없다는 마음으로 9월과 10월 친환경 수소환원제철소의 조속한 건립을 지지하는 현수막을 설치해 포스코를 응원하고 있다고 했다.
또 태풍 힌남노 당시 사상초유의 폭우로 인해 포항제철소의 불이 꺼졌을 때도 청년회의소는 안타까운 마음으로 복구를 위해 고생하는 포스코 직원들을 위해 식음료를 지원하며 제철소 재가동을 간절히 기원했다고 했다.그런데 불과 1년이 지난 지금 포항제철소가 임단협 문제로 스스로 공장을 멈출 수 있다는 소식에 포항시민들은 노심초사하고 있다며 파업은 포스코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수천 개의 협력사와 공급사는 물론 지역사회에도 영향을 줄 것이며 나아가 조선, 자동차 등 국내 주력 산업에도 치명적이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포항JC는 포스코는 지난 50년간 상생과 화합의 노사관계로 많은 귀감이 되었고 포스코 노사가 다시 한 번 대승적인 차원에서 협상에 임하고 미래지향적인 합의를 원만히 도출해 모범적인 노사관계를 대표하는 기업을 거듭나길 바란다고 했다.그러면서 기업이 사회공동체의 일원으로서 사회 문제해결에 동참한다는 `포스코 기업시민헌장`의 내용처럼 포스코는 사회적 책임을 통감하고 임단협 문제로 파업이 발생하는 일은 결단코 막아야 된다고 강조했다.
이에 앞서 지난 12일과 25일 포항제철소 협력사협회와 최일선 현장에서 직원과 설비를 책임지고 있는 포항제철소 파트장협의회가 포스코 노조의 파업을 우려하며 “파업 절차 진행을 즉각 중단하라”고 요구한 바 있다.
파트장협의회는 이날 성명서를 통해 “지난해 9월 6일, 우리 포스코는 냉천 범람으로 포항제철소가 모두 침수되는 사상 초유의 사태를 겪었다. 당시 제철소 정상 가동까지 수년이 걸릴 것이라는 목소리도 있었지만, 전 임직원이 힘을 합쳐 135일 만에 조업을 정상화하는 기적을 이뤄냈다”고 했다. 그러면서 “제철소가 정상 가동된 지 1년이 되지 않은 지금, 우리는 다시 한 번 제철소 가동이 중단될 위기에 처해 있다. 다시는 우리의 일터가 흔들리면 안 된다는 절박한 마음이다”며 “포스코의 파업은 단순히 회사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우리나라의 경제, 산업 전반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포스코 포항제철소 파트장협의회에서는 파트장으로서, 그리고 동시에 노동조합원으로서 현재의 임단협 교섭과정 중 파업만큼은 절대 안 된다”고 강조했다.포스코 노사간에 갈등과 대립 상황이 계속되면서 포스코그룹 전 가족들은 물론 포항시민들도 우려의 눈길을 보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