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이태헌기자]매년 유명 아이돌 연예인들의 자살 사건이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연예인·연습생을 대상으로 한 심리상담 횟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이중 절반가량이 10대들인 것으로 나타나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김승수 의원(국민의힘·대구 북구을)이 25일 한국콘텐츠진흥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3년간(2021~2023.09) 심리상담을 받은 연예인·연습생은 1056명, 상담횟수만 4607회로 1명당 4번 이상 상담을 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연도별로는 2021년 176명(902회)이었으나, 2022년에는 전년도 대비 상담인원이 3.8배 늘어난 661명을 기록했고, 상담횟수는 2612회로 약 3배 가까이 큰폭으로 증가했다. 올해 9월말 현재까지 상담인원 219명(1093회)을 기록 중이다. 지난해 상담을 받은 연예인·연습생 353명(중복포함) 중 ‘불안’ 요인이 21.5%(76명)로 가장 많았다. 이는 자신의 실력과 불확실한 미래, 타인의 시선에서 오는 불안이 주된 원인으로 꼽혔다. 이어 대인관계(팀내 적응문제 및 불화, 과거 트라우마 등)가 14.4%(51명), 스트레스와 정서조절이 각각 14.2%(50명), 무기력·외로움 등 우울 요인이 8.5%(30명), 자기이해 8.2%(29명), 진로고민 7.9%(28명) 순으로 나타났다. 최근 3년간(2021~2023.09) 상담을 받은 연예인·연습생 성별 및 연령대별 조사 현황을 보면, 총 704명 중 여성이 차지하는 비중이 367명(52%)으로 남성 337명(48%)보다 30명이 더 많았다. 같은 기간 동안 연습생이 394명(56%), 연예인 235명(33%)인 것으로 조사됐으며, 이중 10대가 345명(49%)으로 절반을 기록했다. 이어 20대 236명(33.5%), 30대 98명(13.9%), 40대 이상 25명(3.6%) 순으로 나타났다.김승수 의원은 “최근 심리상담을 받은 연예인·연습생의 절반가량이 10대들인 것으로 조사됐다”며 “전 세계적으로 K-POP의 인기가 높은 만큼 아이돌 스타를 꿈꾸는 연습생들이 크게 늘어나면서, 이에 따른 불확실한 미래와 자신이 느끼는 실퍠에 대한 불안요인도 함께 작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김 의원은 “연예인들의 사생활 노출과 악성댓글, 데뷔 불안 등 우울증이 발생하기 쉬운 대중문화예술인의 자살 예방을 위해 심리상담을 더욱 세밀하게 운영할 필요가 있다”며 “연예기획사 소속 연예인 및 연습생들을 대상으로 자살예방 교육 및 심리상담을 병행한 교육을 의무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정부가 적극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한국콘텐츠진흥원 공정상생센터는 2011년부터 ‘연예인·연습생 심리상담 사업’ 추진하고 있으며, 1인 12회까지 무료 상담이 지원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