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노총과 민주노총이 정부가 운영하는 회계 공시 시스템에 회계장부를 등록하기로 지난 24일 전격 결정했다. 노조법·소득세법 시행령 개정으로 회계 공시 없이는 세금 감면이 불가능해지자 울며 겨자 먹기식으로 정부의 ‘노동조합회계 공시제도’ 참여를 선언한 것이다. 앞서 정부는 노동조합(산하 조직)과 상급단체가 모두 결산을 공시해야 조합비를 기부금으로 분류해 15%를 세액공제하는 방향으로 시행령을 개정해 이달부터 시행 중이다. 무려 62년 동안이나 철옹성처럼 유지돼 오던 노조 ‘깜깜이 회계’가 수면위로 떠올랐다.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도 “노조 투명성과 합리적인 노사관계 정착에 의미 있는 진전”이라고 했다. 하지만 비정상을 정상으로 되돌린 당연한 결과다. 지난 5년 동안 정부와 광역자치단체 17곳에서 받은 지원금만 1520억원인 양대 노조가 ‘노조 자율’이라는 이름으로 특권을 누려온 것부터가 잘못된 것이다. 강성 파업과 노노(勞勞) 간 착취라는 고질병은 아직도 ‘노판’에서는 여전하다. 노조 회계 공시제도 수용은 막 오른 긴 노동개혁의 출발선에 선 것이나 마찬가지다. 헌법심판을 청구키로 하고 “정부에 숙이고 들어갈 수 없다”며 마지막까지 반발한 것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양대 노조의 반격 모드는 항상 준비돼 있다. 양대 노조의 후퇴는 “3대 개혁 중 가장 먼저 노동개혁을 통해 경제성장을 견인해야 한다”고 강조해온 윤석열 정부가 올린 첫승이다. 윤석열 정부가 화물연대의 물류파업에 원칙 대응한 이후 폭력시위가 줄고 있는 것도 이를 뒷받침 하는 대목이다. 하지만 아직도 갈 길은 멀다. 윤 정부가 칼을 뺐다가 한 발 뺀 ‘주 69시간 근로’ 문제도 해결해야 할 과제다. 한국만 글로벌 스탠더드와 따로 놀고 있는 고용 경직성 해소도 남은 과제다. 인공지능(AI)과 로봇 중심으로 산업계 흐름이 급변하고 있는 만큼 10년, 20년 앞을 내다본 노동개혁이 절실히 요구된다. 지난 1980년대식의 낡은 사고를 고집하며 생떼를 쓰는 거대 노조의 사고방식을 깨뜨리려면 원칙을 사수하는 것 외에 다른 방법이 없다. 이제 양대 노조도 사고의 변화를 가져와야 할 시점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