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조필국기자]대구고용노동청은 올해 들어 포항권역의 제조업 및 벌목·폐기물처리업체에서 산재 사망사고가 급증함에 따라 이들 업종 중 사고발생 우려가 큰 고위험 사업장을 중심으로 합동 산업안전감독을 실시할 예정이다.10월 현재 포항권역(포항·경주·울진·영덕)의 제조업 및 기타업종에서 발생한 산재사망사고는 13건으로 전년(5건) 대비 160% 증가해 대구‧경북 전체 사망사고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제조업에서 지난해에는 3건의 산재사망사고가 발생했으나, 올해에는 배가 증가한 6건이나 발생했고, 기타업종에서도 2건에서 7건으로 증가했다. 특히 벌목 및 폐기물처리업체에서는 지난해에 산재사망사고가 1건도 발생하지 않았음에도 올해는 총 5건이 발생하여 향후 포항권역 산재 사망사고 예방을 위해 특단의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대구고용노동청은 11월초까지 포항권역 제조업 및 벌목·폐기물처리업체 등 산재발생 취약 사업장 약 321개소를 선별하여 사업장 자율 안전점검을 실시하도록 하고, 동 결과를 받아서 자율 안전점검 미실시 또는 부실점검 사업장 중 재해발생 우려가 높다고 판단되는 사업장을 선별해 오는 11월 15일부터 12월까지 대구지방고용노동청·대구서부지청·구미지청 산재예방지도과의 경력이 풍부한 산업안전근로감독관을 차출해 포항권역에 집중 투입, 포항지청 산재예방지도과, 안전보건공단과 합동으로 강도 높은 감독을 실시한다. 사업장 감독 시 대구고용노동청에서 추진하고 있는 관리감독자 중심의 산업안전보건 관리 실천 여부를 면밀히 확인하고, 산업안전보건법 위반사항에 대해서는 사법조치 및 과태료 부과 등 엄정 조치를 통해 사업주의 안전의식 고취와 자율적인 사업장 재해예방을 위한 안전조치 분위기가 확산되도록 할 예정이다. 대구고용노동청에서는 올해 초부터 대구·경북지역 재해발생 우려 고위험사업장에 대해 재해예방 유관기관과 협업해 관리감독자 중심의 안전보건관리가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이뤄져 재해를 예방할 수 있도록 지도하고 있다. 그리고, 8월부터는 사업장의 안전실천 3단계(`1단계` 유해・위험요인 파악 후 안전보건 조치사항 결정 → `2단계` 관리감독자에게 역할 부여 및 업무수행 지원 → `3단계` 관리감독자의 역할 수행에 대한 확인・평가) 및 우수사례를 반영한 ’관리감독자 중심 안전보건관리 가이드‘를 자체 제작해 지역 내 사업장에 배포하고 있으며, 지자체, 교육청 등 공공기관 및 재해예방 유관기관과 간담회 등을 통하여 안전관리 확산을 위해 다각도로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이에 대해 김규석 대구고용노동청장은 “산재 사망사고 예방의 핵심은 현장의 관리감독자가 위험작업의 필수 안전조치 이행 여부를 확인 후 종사자들이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라며, “향후 산재 사망사고가 증가하는 지역은 강도 높은 집중 감독을 통해 각 사업장에서 자율적인 안전조치 이행 분위기 확산 및 관리감독자 중심의 안전보건관리가 작업 현장에서 이뤄질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대구지방고용노동청은 포항권역 건설 현장에 대해서도 11월초까지 민간재해예방전문지도기관과 각 현장의 관리감독자를 통한 사전안전점검을 실시하도록 하고 그 결과를 통보 받은 뒤 11월 중순부터 대구고용노동청, 포항지청, 안전보건공단 합동으로 집중 감독을 실시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