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김경철기자]국립경주박물관은 24일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비밀의 부적인 ‘수구다라니’를 최초로 공개했다. 국립경주박물관은 다음해 1월 28일까지 특별전시관에서 ‘수구다라니, 아주 오래된 비밀의 부적’ 특별전을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경주 남산에서 나온 것으로 알려진 통일신라기 금동제 경합(經盒)과 그 안에 들어있던 범자(梵字)와 한자(漢字) 수구다라니를 처음 공개하는 자리다. 새롭게 환경을 개선한 특별전시관에서 세 점의 전시품만 소개해 소중한 문화유산을 집중 조명하고 그 중요성을 널리 알리기 위해 마련됐다. 수구다라니는 ‘수구즉득다라니(隨求卽得陀羅尼)’라고도 하며, 다라니를 외우는 즉시 바라는 바를 모두 얻을 수 있다고 한다. 중국 당나라 때 보사유(寶思惟)가 693년에 한역한 불설수구즉득대자재다라니신주경(佛說隨求卽得大自在陁羅尼神呪經)을 비롯한 여러 한역본 전하는데, 경전에는 다라니의 음을 써서 몸에 착용하고 다니면 그 영험이 전해져 효험을 볼 수 있다고 전한다. 몸에 지니기도 하고, 후대에는 불상의 복장에 넣거나 탑에 봉안하는 등 점차 다양한 방식으로 확대되고 유행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19년에 조선총독부 입수 당시 수구다라니는 범자 다라니와 한자 다라니 두 개가 하나의 종이에 같이 배접된 직사각 형태(32.9×46.8cm)였다. 조사 결과 각각 수구다라니임을 재확인했고, 다시 보존처리를 거치면서 각각 분리, 복원해 범자 수구다라니( 29.7×30.3cm)와 한자 수구다라니(29.5×30.9cm)를 원래 형태인 정사각형 모양을 찾았다. 수구다라니가 들어있던 금동 경합은 조사 결과 구리에 금을 도금을 한 것으로, 윗면에 보상화무늬와 옆면 사방에 신장상이 새겨져 있고 여백에 어자(魚子)무늬가 있다. 경합은 통일신라 8~9세기에 제작된 다른 금동 합이나 사리기와 제작방식 및 기법 등이 유사해 통일신라기에 제작한 것으로 보고 있다. 수구다라니는 2020년 경주 남산을 주제로 열린 학술대회에서 처음 소개됐다. 이 다라니는 1919년(大正 8)에 조선총독부 박물관이 입수하고 국립중앙박물관이 관리했으며, 정확한 정보와 연구자료 확보를 위해 과학적 조사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돼 국립중앙박물관과 국립경주박물관에서 보존처리와 조사연구를 했다. 이번에 경주박물관은 수구다라니 두 점과 금동 경합을 전시하면서 수구다라니에 대한 조사성과를 담은 자료집을 공개하고, 특별전에서 직접 통일신라 수구다라니를 만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했다. 박물관 관계자는 “이번 특별전을 계기로 많은 국민들이 접하기 어려운 다양한 문화유산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높일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며 “다라니에 대한 많은 연구자들의 관심과 연구가 이어져 고대 불교문화의 진면목을 좀 더 살펴볼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