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이태헌기자]전국 작은도서관 6899개소 중 절반에 가까운 2996개소(43.4%)가 부실운영되고 있으며, 직원이 없거나 대출실적이 없는 도서관도 상당수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승수 국회의원(국민의힘·대구북구을)이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제출받은 작은도서관 운영평가 결과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도 기준 전국 작은도서관 6899개소 중 2996개소(43.4%)이 운영 부실에 해당하는 D·F등급으로 평가받았다. 2021년 부실평가를 받은 2959개소에서 37개소 늘어난 수치다. 광역시도별 부실운영 평가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경북으로 지역 내 작은도서관의 무려 60.4%(177개소)가 부실운영되고 있었으며, 이어 광주 55.7%(193개소), 충남 55%(214개소), 부산 53.5%(230개소), 대전 52.8%(129개소), 울산 49%(92개소), 충북 48.8%(127개소), 서울 47.7%(450개소), 인천 47%(141개소), 강원 46.4%(104개소), 전남 46%(155개소), 경남 38.1%(186개소), 제주 38%(57개소), 대구 37.9%(83개소), 경기 32.2%(539개소), 세종 30.5%(18개소), 전북 28.7%(101개소)순이었다. 또한 문체부 자료에 따르면, 2022년 기준 대출실적이 단 한권도 없는 전국의 작은도서관은 2021년보다 104곳 늘어난 1430개소(20.7%)에 달했으며, 직원이 없는 작은도서관은 304곳 늘어난 2620개소, 도서충원이 없는 작은도서관은 201곳 늘어난 1003개소, 도서구입비가 없는 작은도서관은 209곳 늘어난 1833개소로 나타났다. 김승수 의원은 “작은도서관 수가 늘어나는 만큼 부실운영되고 있는 곳이 늘어가고 있다”며 “문체부와 국립중앙도서관 등 유관기관들이 방치된 작은도서관의 지원 방안과 활성화 방안 마련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