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이태헌기자]국민의힘 대구 북구(갑) 양금희 의원(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이 중소기업벤처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으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온누리상품권 부정유통 적발은 157건, 부정환전액은 404억2000만원으로 집계됐다.2020년 17건, 20억7천만 원 대비 적발은 611.8% 증가했고, 부정환전액은 1716.9% 폭증했다. 정부가 온누리상품권 부정유통 점검을 위해 이상금융거래탐지시스템(FDS)을 2020년 10월 도입해 ‘상시 감시’로 전환하면서 급증한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부정유통 적발된 157건 중 가맹이 취소된 사례는 15%인 24건에 그쳤다. 지류형 상품권 부정유통을 근절하고 전통시장과 상점가의 디지털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2019년 출시한 모바일형 상품권 가맹률은 여전히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3년 7월 기준, 전국의 전통시장과 상점가 온누리상품권 가맹점포 24만9000곳 중 모바일형 상품권 가맹점포는 9만 곳, 가맹률은 36.1%에 그쳤다. 지류형 상품권 가맹률인 79.5%의 절반 수준이다.모바일 온누리상품권은 기존 운영기관인 한국간편결제진흥원의 협약종료로 신규 운영기관 선정에 나섰고, 지난 2023년 8월 새 운영기관으로 A업체를 선정했다. A업체는 2022년 기준 전체 모바일 온누리상품권 판매·수수료로 지급된 17억1345만원 중 14억7600만원(86%)의 수수료가 지급된 업체다. 한편, A업체는 2022년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사고금액 상위 5개 전자금융업자에도 포함됐다. 양금희 의원은 “온누리상품권의 부정유통과 모바일 상품권 사용실적 미비, 운영사 선정 논란 등 온누리상품권과 관련한 여러 문제가 이어지고 있는 만큼, 관계 부처의 더욱 철저한 관리·감독이 뒤따라야 한다”고 지적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