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박세명ㆍ이동구기자]국회의 선거구획정이 늦어지면서 내년 총선에 출마할 경북도내 의성 청송 영덕 선거구 예비후보자들의 속이 새까맣게 타들어 가고 있다.
내년 4·10 총선 예비 후보자들은 선거일 120일 전인 오는 12월 12일부터 등록을 시작하게 된다. 따라서 23일 기준으로 정확히 50일 앞으로 다가온 셈이다. 하지만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의 선거구 획정 조정안이 법정 선거구 확정 기한(4월 10일)을 6개월 이상 경과한 현재까지 국회에서 낮잠을 자고 있다.대구경북에선 올해 군위군의 대구시 편입에 따라 의성 청송 영덕 선거구가 획정 조정대상 지역이다. 의성 청송 영덕 선거구 조정의 핵심은 군위가 빠진 자리에 어느 곳이 합쳐지느냐다. 지난 5월 국회의원선거구획정위가 경북지역 의견을 청취한 결과 다양한 안이 쏟아졌지만, 생활권을 중심으로 하되 가급적 혼란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조정이 이뤄질 전망이다. 결국 영주 영양 봉화 울진 선거구의 울진 또는 안동 예천 선거구의 예천이 의성 청송 영덕과 합쳐지는 안이 유력한 것으로 전해졌다.지역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선거구가 어떻게 조정되느냐에 따라 현역 의원과 도전자들의 유불리가 제각기 달라진다"며 "4년 전처럼 선거에 임박해 선거구가 확정되면 경북 북부지역의 경우 또다시 공천 번복 등의 대혼란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예측했다.선거구 획정 조정에 따라 정치지형도 급변하고, 가장 많은 유권자가 있는 지역 출신의 당선 가능성이 높아진다. 그 대표적 사례가 지난 2016년 20대 총선에서 경북 북부지역 선거구 조정에 따른 이변으로 분석된다. 당시 새누리당 경선에서 김종태 전 의원(상주 군위 의성 청송)과 최교일 전 의원(영주 문경 예천)이 각각 김재원 전 의원과 이한성 전 의원을 꺾는 파란을 일으켰다. 유권자가 가장 많았던 출신지가 당락의 주요인으로 작용했다.한편 선거구 획정이 후보자 당락을 가를 핵심 변수임에도 불구하고 국회는 지난 2020년 4·15 총선을 불과 39일 앞둔 3월 7일에서야 선거구 획정안을 확정했다. 당시 경북은 4개 선거구의 12개 기초자치단체가 졸속 선거구 조정의 직·간접적 영향을 받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