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조필국기자]사회 현실에 대해 끊임없는 관심을 가지고 예술 활동을 하고 있는 방정아 작가는 지역, 일상, 이웃 주민들의 평범한 순간들을 통해 일상의 이면을 탐구하며, 이를 초현실적인 리얼리즘 회화로 그려낸다. 전시실을 들어서면 송전탑의 호위(?)를 받는 마을 `월성`이 보이고, 그 너머로 바닷물 안팎에 군상, 파란 몸을 가진 좀비의 형체가 담긴 대형작품 `핵좀비들 속에서 살아남기`, `죽는 게 소원인 자들`이 걸려있다. 그와 마주하는 낮은 공간의 벽면에는 아름다운 색채와 평온한 장면의 `스스로 가두기`, `잠시 디오니소스`, `눈 가리고 입 막고` 신작들이 전시돼있다. 지구 환경을 훼손하며 현재에 충실한 인간의 모습, 좀비화 되거나 다양한 방식으로 살아남으려 노력하는 인간의 모습을 담았다. 이를 통해 우리가 현재 살고 있는 시대를 네덜란드 화학자 파울 요제프 크뤼천(Paul Jozef Crutzen)이 제안한 `인류세(人類世, Anthropocene)` (인류의 자연환경 파괴로 인해 지구의 환경체계는 급격하게 변하게 됐고, 그로 인해 지구환경과 맞서 싸우게 된)시대라고 작가는 말한다. 알고는 있지만 외면하게 되는 즐겁지 않은 이야기를 하기 위해 작가의 시선에서 포착된 일상의 한 장면 안에 다양한 현실의 문제를 녹여냈다. 무거운 주제를 선과 색으로 경쾌하게 표현하고, 사실적인 내용을 추상적인 요소와 상상력을 가미해 초현실적 리얼리즘 회화로 보여주고 있다. 이는 작가가 일상에서 경험한 현실적이지 않은 순간들을 표현하기 위한 방법이고, 관객과 무겁지 않게 대화를 시작하기 위함이며 해피엔딩을 기대한다.태양계 속에 속한 지구와 함께 살아가는 우리가 인간다운 모습으로 사는 게 소원인 작가는 예술가로서 우리의 삶, 일상 속 가까이에서 일어나는 불안을 정확하게 관찰하고 느낀 것을 일기장에 기록하듯 그리기 수행을 한다. 작가 특유의 시각언어에 담긴 이야기(narrative)를 통해 우리의 생각을 환기시키고자 하며, 두 발을 딛고 있는 ‘지금, 여기’에 집중하기를 바라고 무엇을 할 수 있는지 고민하기를 유도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