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정부의 의과대학 정원 확대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지금이 ‘포스텍 연구중심의대’ 설립 인가의 최적기로 보인다. 경북도와 포항시는 총력적으로 대응해 나가야 한다. 포항시와 포스텍이 추진하는 연구중심의대는 개업의를 배출하는 의과대학과는 다름에도 그동안 의대 정원에 묶여 설립 요구가 제대로 반영되지 못하고 시간만 끌어왔다. 윤석열 정부는 오는 2025년부터 의대 정원을 늘리기로 함에 따라 포스텍의 연구중심의대 설립도 이번만큼은 반드시 실현돼야 한다. 포스텍 연구중심의대는 공학과 의학의 합성 개념으로 치료에 집중하는 개업의를 배출하는 것이 아니라 다가올 질병 예측과 치료기기, 백신개발 등을 연구하는 새내기 의사를 배출하는 곳이다. 윤석열 정부의 바이오헬스산업 육성을 위해서도 연구중심의대는 반드시 필요하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을 거치면서 신종 감염병이나 희소병 치료제 개발 등 첨단의학 분야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도 의사배출은 당연하다. 경북도와 포항시, 포스텍은 이미 6년 전 의사과학자 양성을 위한 연구중심의대 설립의 필요성을 제기했고, 정부를 상대로 그동안 끊임없는 설득과 노력을 병행해 왔다. 이에 정부도 의사과학자 양성의 필요성을 공감하고 지난 2월에는 이주호 교육부장관이 한 포럼에 참석, 포스텍과 KAIST의 연구중심의대 설립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의과대학 졸업생 중 1%도 안 되는 인력만이 의사과학자의 길을 선택하고 있다. 세계적으로 바이오헬스산업 분야의 시장이 날로 커지고 있는 마당에 국가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라도 연구중심의대의 설립은 시급한 과제다. 포항은 포스텍 연구중심의대 설립에 적합한 요소를 모두 갖춘 곳이다. 글로벌 연구대학인 포스텍이 있고 방사광 가속기, 세포막 단백질 연구소, 그린백신 실증지원센터 등 바이오산업과 관련한 인프라도 뛰어나다. 포스텍, 한동대 등의 우수 인재가 뒷받침 되는 곳이다. 정부가 인가를 망설일 이유도 없다. 지난 14일에는 포항시민 1000여명이 포스텍 연구중심의대 설립을 촉구하는 모임도 가졌다. 낙후된 경북지역 의료현실을 감안해서라도 이번 만큼은 반드시 포스텍 연구중심의대를 설립해야 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