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조준영기자]국민의힘 구자근 국회의원(경북 구미시갑,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이 한국전력공사를 비롯한 5대 발전자회사(서부발전, 남동발전, 남부발전, 동서발전, 중부발전, 이하 발전5사) 경영진을 두고 “재정건전성 확보 노력 없이 전기요금 인상만 기다리고 있다”며 강도높게 비판했다. 한국전력공사와 발전5사는 지난 2022년 7월, 기획재정부에서 발표한 ‘재무위험기관’으로 지정되어 자산매각, 사업조정 등 향후 5년간의 재무구조 개선 방안을 담은 ‘재정 건전화 계획’을 제출하며 국민께 뼈를 깎는 자구책 마련과 이행을 약속했다.하지만 발전5사가 지난 9월 열린 방문규 산업부장관 인사청문회 당시 구자근 의원실로 제출한 ‘재정건전화 계획 달성률’ 자료를 분석한 결과 재정건전화 방안 중 자산매각 이행률은 평균 6.7%로, 가장 높은 한국남동발전이 13.3%에 그쳤고 한국서부발전이 0.1%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발전5사의 사업조정이나 비용 절감 분야 이행률은 평균 60%를 넘겼다. 발전5사 경영진들이 달성률을 조기에 끌어 올리기 위해 손쉬운 방법을 채택했거나, 특히 직원들의 허리띠만을 졸라매는 방식으로 접근했다는 것을 보여주는 수치라고 구자근 의원은 해석했다. 일반적으로 사업조정은 사업 기간을 늘려 예산 투입 비용을 축소시키거나 투자계획 추진을 연기하는 방향으로 추진되어왔고, 비용 절감은 이미 재무구조가 악화되어 있었던 전력 기관들이 직원들의 복리후생을 조정하는 방식을 써 왔기 때문이다. 참고로 5개 발전자회사의 비용 절감 이행실적 총액은 3,252억 원에 달한다.이러한 ‘고식지계’식 경영방침은 발전사뿐만 아니라 한국전력공사도 마찬가지였다.지난달 20일 한전 사장에 취임한 김동철 사장은 취임 직후 비상 경영 선언 및 혁신위원회를 발족하며 언론을 통해 “자산매각과 인력 감축 등 특단의 추가 대책도 조속히 마련토록 하겠다”고 밝혔다.그러나 구자근 의원실에서 한국전력으로부터 입수한 ‘본부별 업무보고 시 CEO 말씀내용 및 지시사항’ 자료에는 재정 건전화에 관한 언급은 전혀 없이 전기요금 의존도를 낮추는 방안으로 에너지 신사업 진출이나 해외사업 확대를 지시하는 내용만 포함되어있던 것으로 드러났다.구자근 의원은 “전정부 인사로서 작금의 경영 위기를 자초한 발전5사 경영진들이 지난 1년간 자산매각 계획을 평균 6%밖에 달성하지 못한 이유는 무능이나 기만으로밖에 해석할 수 없다”고 강도 높게 비판하며, “한전 신임 사장도 당장 필요한 재정건전화계획 이행보다는 치적쌓기용 사업확장에만 관심이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이어 “원인 제공자인 발전5사 사장과 경영진은 당장 책임을 지고, 한전 사장 역시 전기요금 인상을 운운하기 전에 자구책 이행부터 신경 쓰길 당부한다”고 지적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