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안종규기자]정부가 2025년부터 의과대학 정원을 대폭 늘리는 방안을 검토 중인 가운데 의료소외지역 주민들과 의사단체는 열악한 지방의료 인프라가 우선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16일 정부와 의료계에 따르면 정부는 최근 필수 의료 공백을 해결하기 위해 전체 의대 정원에서 1000명 이상 확대하는 방안을 오는 19일 발표할 예정이다.이번에 의대 정원 확대 방안이 확정되면 현재 고2학생들이 대학에 진학하는 2025학년도 입시부터 적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관련, 의료시설이 낙후된 지역 곳곳에선 반발 움직임이 거세다.일부지역에선 2020년 `10년간 의대 정원을 4000명 규모로 확대한다`는 정부 방침에 반발, 전공의 집단휴진(파업) 사태로까지 번진 의·정 갈등이 재현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대구지역 의사단체는 일방적 의대 정원 확대는 "의·정 신뢰가 깨질 수 있다"며 반대 입장을 명확히 하고 있다.정부가 의대 정원 증원 방침을 강행할 경우 2020년 전공·개원의 파업 때보다 반발이 더 커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다만 대구시의사회 등 대구의 의사단체는 기본적으로 정원 확대에 반대하면서도 정부의 공식 발표가 나오기 전까지는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현재까지 별도의 성명이나 입장문은 발표하지 않고 있으며, 대한의사협회의 구체적 입장 등이 나오면 투쟁 일정 등 궤를 같이 할 것으로 보인다.대구의 한 개원의는 "의대 정원 확대를 이야기하기 전에 필수의료 수가를 개선하고 현실화해야 한다"며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면 의·정간 어렵게 쌓은 신뢰가 깨져 더 큰 사회적 손실을 입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사정은 울산지역도 마찬가지다.  울산광역시의사회도 이날 성명서를 내 `의대 정원 확대를 절대 반대한다`는 입장을 분명히했다.울산시의사회는 "이미 배출된 필수의료인력은 차고 넘친다"며 "다만 필수의료분야에서 소신있게 진료할 의료환경 여건이 부재해 인력이 현장을 떠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진정으로 국민보건건강을 위한다면 필수의료가 왜 기피되고 지원자가 없는지를 정확히 파악해서 그에 맞는 해결책을 내놓아야 한다"고 촉구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