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박동수기자]최근 3년 동안 전국 18개 시민.환경단체가 부정수급한 보조금이 총 6441만원으로 나타나 충격을 주고 있다. 심지어 6개 시민단체는 3년 연속 부정수급이 이뤄진 사실이 드러나 文 정부 맞춤용 지원금이 아니냐라는 지적이 일고 있다.12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김형동 의원 (안동‧예천)이 환경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0~2022년까지 전국 18개 시민.환경단체가 부정수급한 보조금은 총 6441만원으로 나타났다. 이들이 수령한 보조금은 총 20억3천만원에 달했다. 그러나 文정부 당시 환경부는 시민단체들에 대한 관리 · 감독 조차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보조금 부정수급 사실도 윤석열 정부 들어와서 파악됐고 환수 조치가 이뤄졌다.더욱 심각한 것은 적발 시민단체 18곳 중 6곳은 2020년부터 3년 연속으로 부정수급이 이뤄진 점이다. 그런데도 환경부는 이들 단체 6곳에 아무런 제재없이 보조금을 지급해왔다. 이들이 3 년간 지원받은 보조금은 무려 16억 8300만원으로 부정수급 시민단체 (18곳)의 전체 보조금 중 82.9%나 차지했다.이에 대해 ‘文 정부 맞춤용 지원금’이 이뤄진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3년 연속 적발 시민단체 중 4 곳은 문재인 정부의 4 대강 조사위원회 전문위원 과반 (58.1%) 을 차지하며 보 해체를 주도한 ‘4 대강재자연화시민위원회’ 소속으로 밝혀졌다. 또 시민단체 중 1곳은 이재명 대선후보를 지지했던 단체이며 1 곳은 윤석열 규탄시위 등에 참여한 환경운동연합 소속으로 확인됐다.환경부는 올해 9월 시민단체가 3년 동안 부정수급한 금액 중 약 8200만원 (78.2%)을 환수했고 남은 2300 만원(21.8%)도 올해 내로 모두 환수할 방침이다.김형동 의원은 “文 정부 당시 친여성향의 시민단체에 돈을 퍼준 것으로 모자라 부정수급까지 눈감고 옹호해준 것은 아닌지 의심된다”며 “시민단체의 부정수급 적발 시 즉각 환수하고 환수가 이뤄지지 않는다면 지원을 원천 차단하는 등 재정건정성을 확보를 위한 방안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