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조준영기자]교육부가 교권침해 사안 신고와 교원 마음건강 치유 프로그램을 안내하는 직통전화 `1395`를 구축한다.
교육부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10일 `1395`를 교권침해 신고 특수번호로 사용하기로 합의했다. 특수번호는 공공질서 유지와 공익 증진 목적으로 사용되는 번호다.교육부는 교원이 교권 침해 상황에서 즉시 도움을 요청할 수 있도록 민원상담 `1396`과 같은 통합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는 교육현장의 의견을 반영해 이 정책을 마련했다.`1395`가 개통되면 교원은 발신 지역 시·도교육청 교권민원팀과 즉시 연결돼 교권침해 사안 신고, 법률상담 지원, 마음건강진단·치료 프로그램 안내 등 통합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과기정통부에서 `1395` 특수번호 부여 절차를 완료하면 교육부는 조달청 입찰을 통해 운영·관리업체를 선정하고, 시스템을 구축한 뒤 다음해 1월부터 직통전화를 개통할 계획이다.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교원이 더 이상 악성민원 등 교권침해 상황을 혼자서 감당하게 해서는 안 된다"며 "직통전화를 통해 교원이 교권침해 상황에서 즉시 도움을 받을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교육부는 조속한 시일에 직통전화가 안착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이종호 과기정통부장관은 "교원상담과 교권보호를 위한 전용 직통전화 구축 필요성에 깊이 공감한다"며 "다음해 1월로 예정된 긴급 직통전화 운영에 차질이 없도록 신속히 특수번호를 부여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