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4월 10일 제22대 총선이 이제 6개월 앞으로 다가왔다. 제21대 국회가 10일 개회됐다. 이번 마지막 국정감사가 끝나면 여야는 본격적인 총선 정국에 들어간다. 여야는 국민을 위한 국회활동 보다 오히려 강서구청장 선거에 올인하고 있다. 헌정사에서 유례를 찾기 어려운 정치 난맥상을 보면 내년 총선이 벌써부터 걱정된다. 여야의 대치상황이 이런 식으로 흘러가서는 안된다. 오는 27일까지 이어질 국정감사만 해도 정책 감사는커녕 무한정쟁의 소모전이 될 게 불 보듯 뻔하다. 야당은 해병대원 사망 조사, 홍범도 장군 흉상 이전, 서울·양평 고속도로 노선 변경 등을 집중 공격해 총선 전초전으로 활용하겠다는 태세다. 여당은 이재명 민주당 대표의 사법 리스크를 부각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국감장이 정쟁 마당으로 전락하고 있다. 민생이 뒷전인 국회의 모습이 어제오늘 얘기는 아니지만 국회사무처 자료에 따르면 기가찰 노릇이다. 지난해 우리 국회의 본회의 개최는 37회로 미국 하원 본회의 개최(100회)에 턱없이 못 미친다. 상임위 활동은 우리가 336회, 미 하원이 1873회다. 물론 회의가 능사는 아니겠으나 어쩌다 회의를 열어도 여야 의원들이 고성만 지르다 끝나는 게 허다하다. 이러고도 국회의원 특권은 세계 최고 수준이다. 해외를 나갈 때나 행사장에서나 최고 대우를 받고 일을 하지 않아도 월급은 꼬박꼬박 빠지지 않고 받는게 대한민국 국회의원이다. 민생 정치에 손놓은 국회는 결국 여야 모두의 책임이지만 근원적으로는 168석을 끝까지 무기로 삼는 야당의 몫이 더 크다. 이 대표의 구속영장이 기각되면서 민주당의 국정 발목 잡기는 도를 넘어섰다. 국무총리 해임 요구, 법무부 장관 탄핵 주장에 이어 대법원장 후보자 임명 동의안마저 당론으로 부결시켰다. 국정에 충격을 주는 결정을 쏟아내면서 민생 후폭풍을 고민하는 기색은 조금도 없어 보인다. 정쟁에 빠진 국회에 신물나는 모습을 보면서 국민들은 지금 무슨 생각을 하고 있을까. 민생 정치에 계속 찬물을 끼얹는 쪽이 여당이든 야당이든 내년 총선에서 준엄한 국민의 심판을 받게 될 것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