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창립 55년만에 노조가 첫 파업에 들어갈 위기를 맞고 있다. 365일 쉬지 않고 가동해야 하는 일관제철소 특성상 어느 한 곳이라도 조업이 중단되면 막대한 국가적 손실을 초래하게 된다. 포스코뿐 아니라 수만 명에 달하는 협력사와 직원, 직원 가족들이 직·간접적 피해를 본다. 포항 지역경제는 물론 자동차·조선·건설 등 전후방 산업 및 국가 경제에도 큰 타격이 불가피하다. 포스코 측은 상반기 영업이익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0% 이상 급감한 상황에도 예년 대비 높은 임금인상률을 제시했다. 그러나 총 86건의 노조 측 요구와는 입장 차가 너무나 컸다. 특히 노조 안에는 `임금 삭감 없는 주 4일제(주 32시간 근무)`라는 다소 지나친 요구도 포함돼 있다.
포스코 노사는 지난 8월 23일 노조 측의 교섭결렬 선언으로 약 한 달간 임단협 교섭이 중단됐다가 지난 9월 21일 교섭을 재개했다. 이후 양 측은 의견을 좁히기 위해 휴일인 지난 3일에도 실무협의를 진행했고, 이후 4일과 5일 진행된 교섭에서 회사측은 기본임금 인상 16.2만원(Base Up 9.2만원 포함), 일시금 600만원(주식 400만원, 현금 150만원, 지역사랑상품권 50만원) 등을 최종안으로 제시했다. 지난 9월 교섭보다는 사측이 크게 양보한 것이다. 하지만 노조측은 기본급 13.1% 인상, 조합원 대상 자사주 100주 지급, 목표달성 성과급 200% 신설, 조합원 문화행사비 20억원 지원 등 23건의 임금성 안건을 요구했다. 노조의 요구안을 모두 수용할 경우 추가 소요 비용은 총 1조 6천억원으로 연간 인건비 총액의 70%를 넘어서며 1인당 연봉 9500만원 수준이다. 양측의 입장차가 너무 크다. 포스코는 지난해 힌남노 태풍으로 2조원이라는 천문학적 손실을 입고도 빠르게 회복했다. 하지만 국내외 경기 침체로 인한 수익성 악화로 지금은 고전하고 있다. 생산량의 약 50%를 수출하는 글로벌 기업이 파업으로 인해 공급에 차질이 발생하면 계약이 끊길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글로벌 철강 시장의 시스템 구도가 그렇기 때문이다. `자원도 기술도 없는 무(無)의 상태에서 50년 동안 지속 발전해온 첫 번째 성장 동력이 노사 안정이었다`는 사 측 주장도, `힌남노 침수피해 복구에 고생이 컸던 직원들에게 합리적인 대우가 필요하다`는 노조 요구도 다 맞는 말이다. 국민기업이라는 이미지에 걸맞게 노사 양측은 한발씩 양보해 타협점을 찾아주길 바란다. 파업만큼은 절대 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