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일(현지시각) 새벽 팔레스타인 무장 정파 하마스가 이스라엘 여러 도시를 동시다발적으로 기습 공격해 많은 사상자를 냈다. 중동전쟁이 확전될 우려가 커지고 있다. 팔레스타인 무장 세력 하마스가 이스라엘을 대규모 선제 공격하고 이스라엘이 즉각 보복에 나서 중동 전쟁이 다시 불붙는 양상이 됐다. 이란의 지원을 받는 레바논 무장 세력 헤즈볼라도 이스라엘 공격에 가담해 이스라엘과 아랍의 전면전으로 확산될 가능성도 높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략 전쟁이 장기화되는 가운데 이번 사태는 유가 급등과 세계 경제 불안을 초래하고 우리 안보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불안감을 주고 있다. 특히 우리가 주목해야 할 점은 이스라엘이 공격 정보를 사전에 파악하지 못한 점이다. 하마스는 유대교 안식일 새벽에 5000여 발의 로켓포탄을 퍼부었지만 세계 최고의 정보 수집력을 자랑한다던 이스라엘 모사드는 공격 징후 탐지에 실패했다. 하마스는 무장 대원들을 이스라엘에 침투시켜 군인·민간인을 납치하기도 했다. 이스라엘은 수십억 달러를 들여 ‘아이언 돔’ 로켓 방어 시스템을 도입하고, 무장 세력 침투를 막기 위해 스마트 국경 시스템과 지하 벽을 설치했지만 하마스는 이를 무력화시키며 이스라엘 영토를 유린했다. 이스라엘로선 아랍의 기습 공격에 대비하지 못한 1973년 4차 중동전쟁 이후 최악의 정보 실패로, ‘이스라엘판 9·11 테러’ ‘중동판 진주만 공습’이란 지적도 나온다.이스라엘 사태는 전쟁은 언제든지 예고 없이 벌어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어느 때보다 호전적인 북한이 하마스처럼 동시에 수천 발의 로켓포탄을 휴전선 너머로 쏘아 올리고 백령도 점령에 나서는 시나리오를 터무니없다고 배제할 수 있나. 이번 사태는 김정은 북한정권이 2019년 미·북 하노이 협상 결렬 후 더욱 호전적으로 나오는 상황에서 발생했다는 점에서 우리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김정은의 일거수일투족과 북한군의 움직임을 면밀히 감시하며 유사시 북한군 포탄이 단 한 발도 우리 땅에 떨어지지 않게 해야 하는데 우리가 그만한 태세를 갖추고 있는지 의구심이 든다. 군과 정보 당국은 신뢰를 주지 못하고, 여야 정치권은 온통 정쟁(政爭)에만 몰두해 있다. 새로 취임하는 신원식 국방부 장관은 우리 안보에 대한 영향을 면밀하게 분석하고 비상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우리나라는 정말 안전한가. 언제까지 미국만 쳐다보고 있어야 하나.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