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K신공항 화물터미널 입지를 놓고 의성군과 대구시 간에 갈등의 골이 깊어지고 있어 걱정이다. 양측의 갈등이 더 길어지면 질수록 TK 모두에게 좋을게 없다. 정부가 보고 있기 때문이다. 정부는 TK신공항 예비타당성조사(예타) 면제 결정을 이달중으로 확정, 발표할 계획이었지만 의성군과 대구시 간에 벌이고 있는 TK신공항 화물터미널 갈등으로 선뜻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자칫 재검토라도 하겠다면 어쩔건가.
당초 국토교통부는 지난 8월 `TK신공항 민간공항 관련 사전타당성 검토 연구용역 결과`를 발표하면서 예타 면제 여부는 10월 중 결정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하지만 최근 TK신공항에 들어설 화물터미널 입지를 둘러싼 의성군과 대구시 간의 갈등이 격화되면서 정부 측에서도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있다. 결국 양측 간 표면적 갈등이 더 팽팽해질 경우 정부가 또 다른 결정을 내리며 보류할지도 모른다. TK 모두에게 치명적인 결과를 안겨줄 것이다. TK신공항 건설사업은 핵심 요소인 경제적 타당성까지 충분히 입증된 만큼 속도감 있는 후속 절차 추진이 관건이지만 화물터미널 입지를 둘러싼 의성군-대구시간 갈등이 계속될 경우 일정에 차질이 불가피해진다. 국토부가 TK신공항 예타 면제 결정과 관련, 10월 중 발표할 계획을현재로선 잠정 연기해 놓은 상태다. 양측의 갈등이 가라앉을 때까지 기다리겠다는 복안이다. 양측 간 갈등이 커질 경우 정부도 후속 절차를 추진하는 데 신중을 기하겠다는 입장이다. 결국 예타 면제는 `TK신공항 건설사업 추진 계획`에 대한 국무회의 의결을 거쳐 정책적 추진이 확정되면 공식적으로 진행된다. 정부 재정사업으로 국비가 투입되는 만큼 이후 기재부 재정사업평가위원회 의결 등을 거쳐 예타 면제가 최종 결정된다. 예타 면제가 확정되면 기재부는 사업 규모와 사업비 등이 적절한지 살펴보는 사업계획 적정성 검토를 하게 되고, 이후 기본계획 수립 과정에서 총사업비와 대형 공사 입찰 방법 심의 등이 구체적으로 이뤄지게 된다. 이제 더 이상의 소모전을 벌여서는 양측 모두에게 득 될게 없다. 하루빨리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 대구경북의 미래가 달린 문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