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안종규기자]6일간의 긴 추석 연휴가 끝난 후 피로나 무력감을 호소하는 이들이 적지 않다. 명절이 지난 후 겪게 되는 정신적·신체적 부작용인 명절 후유증을 어떻게 풀면 좋을까.  3일 의료계에 따르면 평소와 같은 생체리듬을 되찾기 위해서는 가벼운 운동을 하고 회식 등 숙면에 방해가 될 수 있는 일정은 피하는 것이 좋다고 권고한다.명절 후 통증은 주로 상체에 집중된다. 특히 여성들은 음식 준비 등 가사 노동으로 목이나 허리를 구부정하게 숙이는 게 보통이어서 척추에 무리가 간다. 무거운 것을 들거나 쪼그려 앉는 동작은 손목과 무릎에도 통증을 유발한다.노동으로 관절에 쌓인 피로를 풀기 위해 스트레칭을 해주면 피로 해소에 도움이 된다. 명절에 시간이 날 때마다 가벼운 스트레칭을 해주고 쪼그려 앉기, 양반다리 등 좌식보다는 식탁에 앉거나 서서 일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장거리 여행자들도 주의가 요구된다. 좁은 좌석에서 불편한 자세 때문에 생기는 `척추피로증후군`은 평소보다 척추에 과도한 압력이 전달돼 척추와 주변 근육, 인대가 긴장해 생긴다. 출근 후 사무실에서 오랜 시간 같은 자세로 앉아 일을 하게 되면 증상이 악화할 수 있어, 찜질이나 목욕으로 근육 긴장을 완화 시켜주는 것이 좋다.점심시간을 활용해 10분가량 낮잠을 자는 것도 피로 해소에 도움이 되지만 휴식이 좋다고 마냥 잠만 자는 건 오히려 해롭다. 생체리듬이 더욱 불규칙해져 피로감이 증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휴가를 가기 전에 가졌던 수면시간을 지켜주는 것이 좋다.출근 첫날은 가급적 무리가 되지 않게 과음, 과식을 피하고 점심 식사 후 건물 밖으로 나와 바깥 공기를 마시는 것도 좋다. 또 조금 일찍 일을 끝내는 것도 몸이 균형을 찾게 하는 데 도움이 된다.아울러 비타민이 함유된 채소나 과일을 위주로 식사를 챙기는 것도 좋다. 채소와 과일에는 많은 식이섬유는 배변 활동과 혈당 조절 등을 돕기 때문이다. 또 추석 연휴 동안 섭취한 기름진 식사로 쉽게 발생할 수 있는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역할도 한다.물을 많이 마시는 것도 피로 회복에 도움이 된다. 다만 피로하다고 커피나 카페인 음료를 마시면 중추신경을 자극해 피로감만 더 쌓일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