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김용묵기자] 경북도는 가축분뇨의 적정 처리를 위한 자원화 기술 고도화와 함께 탄소중립 등 변화하는 환경에 대응해 축산분야 저탄소 구조 전환을 본격 추진한다.경북도는 농정비전으로 `멈추지 않는 농업 대전환, 미래로 도약하는 경북 농업!`을 선포하고 이를 위한 농업대전환 과제인 축분소재 산업화로 환경친화적 축산업 전환 계획을 밝혔다.그동안 가축분뇨는 농업용 퇴·액비로 이용돼 왔으나 경작지 감소, 도시화, 토양 양분 과잉으로 사용 면적이 줄어들고 축산분야 온실가스가 기후변화 원인으로 지목돼 축분의 새로운 방안 마련이 지속적으로 요구돼 왔다. 이에 경북도는 축분의 퇴·액비화 비율을 2022년 87%에서 2030년 70%를 목표로 2024년부터 4년간 총사업비 58억원을 투입해 축분 혼합비료 동남아시아 수출을 확대 지원하고, 축분 바이오차를 토양개량제로 활용해 저탄소 축분 가공산물 활용 기반을 조성한다. 경북도의 축산 분야 저탄소 구조 전환을 위한 추진 방향은? 첫째, 축분 비료 동남아시아 수출 확대▷ 혼합 유기질비료 신제품 개발로 해외 비료 시장 공략▷수출지원단 운영(생산자단체, 경북통상 등)▷혼합유기질비료(축분 50%이상 혼입) 해상운임비 지원(5만원/톤)둘째, 저탄소 축분 가공산물 활용기반 조성▷ 축분 바이오차를 토양개량제로 활용할 시범단지 조성(`24년, 3개소, 4.5억원)▷ 저탄소 농산물 및 축산물 생산으로 새로운 가치 소비모델 개발▷ 축산농가, 유기질 퇴비공장 등 축분 열분해 설비 확대 보급(매년 2개소, 6톤/일 생산)가축분뇨 100톤(함수율 75%) 기준으로 바이오차의 생산수율은 20%로 퇴비의 42%보다 낮아 처리 효율성이 높고 생산과정과 보관, 농경지 살포 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와 온실가스가 적은 것이 특징이다.또 영농활동 등으로 발생하는 탄소 사용량을 저감하고,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변화시켜 토질을 개선함으로써 농업환경의 지속적인 녹색성장과 함께 농업 생산성과 소득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아울러 사업의 확장성을 위해 전․후방 산업 육성 등 새로운 저탄소 생산․소비문화 정착을 위한 농협, 기업 간 저탄소 농업단지 활성화 협력사업과 ESG 경영에 기업과 증권사에서 농업온실가스 감축사업 형태의 투자를 확대 유도할 계획이다.앞으로 정부에서 추진 중인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에 따른 농업․농촌 분야 온실가스 감축 요구와 기후변화에 따른 소비자의 가치소비 문화는 저탄소 농축산물 소비시장 확대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김주령 경북도 농축산유통국장은 “지금 농업농촌은 양분 과잉, 수질오염, 기후변화와 탄소중립 등 많은 사회적 이슈로 중대한 전환기를 맞고 있다”라며 “저탄소 구조 전환을 통해 축산업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개선하고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농촌환경을 조성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