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조준영기자]포스코의 수소환원제철소 부지 조성을 위한 마지막 관문인 주민공청회가 마무리됐다.
포스코는 수소환원제철소 부지조성을 위한 8번째 주민공청회를 19일 오후 3시 포항시 남구 포항철강산단 내 호동근로자종합복지관에서 열고 마지막으로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했다.부경대 이태윤 환경공학과 교수 주재로 진행된 이날 공청회에서는 정부의 2050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서라도 수소환원제철소가 하루빨리 착공에 들어가야 한다는데 의견을 모았다.이날 공청회장에는 일부 반대주민들과 환경단체 회원들이 현수막을 들고 시위를 벌이기도 했으나 진행에는 큰 방해가 되지 않았고 순서대로 진행됐다.이날 오후 3시 주재자 모두 발언에 이어 패널간 토론회에서는 안양대 류종성 교수가 의견진술자 발언으로 환경영향평가 초안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했고, 사업자 측 답변자로 대영엔지니어링 최만규 부장이 국토부, 환경부 관련 박사들의 심의내역 등을 설명했다.이어 방청인 질의응답에는 송도동의 최종석씨가 환경영향평가로는 답변이 어렵고 포스코에서 이 문제에 대해 신경을 써달라고 주문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사업자 측에서는 수소환원제철소가 완성되면 기존 고로(소결, 코크스공장)는 2050년에 가동이 중단되기 때문에 현재보다 오염도가 훨씬 더 낮아질 것이라고 예측했다.특히 이날 공청회는 그동안 이슈가 됐던 잘피류 서식지와 해안선 영향 등에 대해 열띤 질의응답이 이어졌다. 사업자 측은 이곳 해양 잠수 결과, 사업 대상 지역 내 잘피류 서식은 실측되지 않았지만 사업지역에서 3~5㎞이상 떨어진 장소에는 잘피류가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설명했다. 전 세계적으로 검증된 프로그램과 국가기관 조사 데이터를 토대로 해양영향을 검증한 결과 해안선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반대 측 주민들은 결국엔 5투기장이 목적이 아니겠느냐, 송도백사장 유실, 영일만 앞바다 사막화 등을 주장하기도 했다.한편 포스코는 이날 공청회를 끝으로 환경부와 환경영향평가 본안 협의, 해양수산부 중앙연안관리심의, 국토교통부 산업단지 계획심의 등의 절차를 진행하고 내년 3월까지 부지 조성에 필요한 행정 절차를 모두 마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