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김용묵기자] 정부가 중소기업에 지원하는 상담 서비스인 근로자지원프로그램(EAP)에서 ‘직무 스트레스’로 인한 상담이 가장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최근 교사들의 극단적 선택이 이어지는 등 직무 스트레스에 관한 사회적 경각심이 높아진 가운데 관리체계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가 나온다.지난 14일 국민의힘 임이자 의원(사진·상주·문경)이 근로복지공단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1∼7월 공단의 EAP를 통한 상담 건수는 9086건으로 지난해(1만2639건) 대비 증가 추세에 있다.    공단의 EAP는 300인 미만 사업장을 대상으로 전문가 상담을 무료로 제공하는 서비스다. 공단은 2020년부터 상담 분야를 15개로 세분화했다.  조직 내 소통, 일·가정 양립, 건강 관리, 대인 관계, 부부 갈등 등이다.  이 중 지난 1∼7월 상담이 집중된 분야는 직무 스트레스로 2160건에 달했다.  정서 문제와 관련한 상담이 1647건, 스트레스 관리가 1376건을 기록해 정신건강과 관련한 상담이 전체 상담의 과반을 차지했다.이 같은 흐름은 최근 3년간 지속됐다.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상담 사례 중 직무 스트레스 관련 상담이 20% 이상으로 집계되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정서 문제에 관한 상담은 2020년 1633건에서 지난해엔 2603건을 기록하며 꾸준히 증가했다.  반면 직장 내 괴롭힘과 관련한 상담은 2020년 1318건을 기록한 뒤 조금씩 줄어들어 지난해엔 654건으로 감소했다.  올해 들어선 7월까지 337건으로 집계됐다. 임이자 의원은 “정신질환을 호소하는 근로자가 늘어나고 있는 만큼 근로자의 정신건강 지원과 심리 상담 등 지속적인 안전보건 관리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며 “스트레스에 대처하기 위한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