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김용묵기자] 경북이 국내에서 가장 많은 세계유산을 보유한 보고(寶庫)가 됐다.
지난 17일 고령 가야고분군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면서 경북은 전국에서 유일하게 신라·유교·가야 등 3대문화와 관련한 세계유산을 모두 보유하게 됐다. 또 경북은 우리나라 세계유산 16건 가운데 6건을 보유한 국내 최다 보유지역으로 등재됐다.경북의 세계유산은 석굴암과 불국사(1995년 지정), 경주역사유적지구(2000년), 한국의 역사마을(하회와 양동)(2010년),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2018년. 부석사, 봉정사), 한국의 서원(2019년. 전체 9개 중 경북 4개 : 소수서원, 도산서원, 병산서원, 옥산서원) 등이다.18일 경북도에 따르면 전날 사우디아라비아 수도 리야드에서 열린 제45차 세계유산위원회는 가야고분군을 세계유산으로 등재했다.경북의 `고령 지산동 고분군`은 5~6세기 가야 북부지역을 통합하면서 성장한 대가야를 대표하는 고분군이다. 가야고분군은 지난 5월초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의 심사·자문기구인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로부터 `등재권고`를 받아 등재가 유력시됐고, 이번에 최종 결정됨으로써 우리나라는 16건의 유네스코 세계유산을 보유한 국가가 됐다. 이번에 등재 결정된 가야고분군은 1~6세기에 걸쳐 한반도 남부에 있었던 고대 문명 가야를 대표하는 7개 고분군으로 구성된 연속유산이다.이들 고분은 경북 고령 지산동 고분군, 경남 김해 대성동 고분군, 경남 함안 말이산 고분군, 경남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 경남 고성 송학동 고분군, 경남 합천 옥전 고분군, 전북 남원 유곡리와 두락리 고분군 등이다.가야연맹의 각 권역을 대표하는 고분군으로 신라, 백제 등 주변의 중앙집권적 고대국가와 병존하면서도 연맹이라는 독특한 정치체계를 유지했던 가야문명을 실증하는 독보적인 증거로, 동아시아 고대 문명의 다양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으로 평가받았다. 가시성이 뛰어난 구릉지 위에 고분군이 밀집해 장관을 이루고 있어, 연맹의 중심세력으로서 대가야의 위상과 함께 가야연맹 최전성기의 모습을 보여준다.이를 계기로 경북도는 가야문화를 새롭게 조명하고, 기존 신라·유교문화와 연계한 발전방안을 모색하는 등 문화관광 생태계를 새롭게 구축해 나갈 방침이다.이철우 경북지사는 "이번 가야고분군의 세계유산 등재는 경북의 신라·유교·가야 3대문화를 전 세계가 인정하는 대한민국의 쾌거"라며 "경북은 세계유산의 보고(寶庫)인 만큼 전통 문화자원을 전승·보존하고 미래 먹거리로 적극 활용·발전시켜 대한민국의 국격을 높이고, 지방시대를 견인하는 데 앞장서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