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기업 포스코그룹이 외부 요인도 아닌 내부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난해 태풍 ‘힌남노’ 고비를 잘 극복해낸 포스코가 노조와의 내년도 임단협 과정에서 돌파구를 찾지 못하면서 또다른 고비를 맞고 있다. 특히 포스코 노조가 회사측이 수용하기 힘든 무리한 요구안을 제시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그동안 20차례까지 진행됐던 노사간의 임단협 교섭결렬도 바로 이 때문이다. 교섭결렬의 주된 이유는 노조의 무리한 요구다. 7일 포스코에 따르면 노조측이 제시한 요구안을 보면 ▲기본급 13.1% 인상 ▲조합원 대상 자사주 100주 지급 ▲PI제도(생산성 격려금) 200% 신설 ▲명절상여금/격려금/중식비 인상, 복지포인트 상향, 정년연장 및 근무제도 관련 등 총 86건을 요구하고 있다. 노조의 요구안을 모두 수용할 경우 추가로 소요되는 비용은 1조6000억원으로 이는 연간 인건비 총액의 70%를 넘어서는 수준이다. 현재 포스코 직원 1인당 평균 연봉(2022년 공시기준)은 1억800만원이다.
포스코 노조 요구안에 따르면 1인당 9500만원 인상을 요구하고 있다. 인상금액이 거의 1억원에 가까워 1인당 평균연봉이 2억원에 육박한다. 이 같은 2억원 수준의 평균 연봉은 ‘귀족노조’ 논란 현대자동차를 훌쩍 뛰어 넘는 금액이다. 일반 회사원들에게는 꿈같은 얘기다. 일반 회사원이 월급을 한푼도 쓰지 않고 몇 년 모아도 만지기 힘든 돈이다. 포스코 노조의 이같은 무리한 요구에 대해 포항시민 대부분이 쉽게 납득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이처럼 노조가 무리한 요구를 하게 된 배경에는 집행부 가운데 일부 강성 노조원이 분위기를 주도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비록 민노총에서 탈퇴했지만 일부는 민노총의 노선을 그대로 고집하고 있다는 것이다. 문제는 포스코 노사간 임단협이 타결되지 않고 파업으로 이어져 철강생산에 차질이 생길 경우다. 비단 포스코 뿐만 아니라 산업계 전체의 피해는 불을 보듯 뻔하다. 실제로 지난해 태풍 힌남노로 인해 포항제철소가 침수됐을 때 자동차·조선·건설 등 전후방 연관산업 전체가 피해를 입었다. 또 포스코의 경우 고객사가 대부분 외국계 기업으로 제품을 제때 납품하지 못하면 곧바로 패널티 및 고객사 이탈, 계약해지 조치가 나올 수 있다. 고객사가 대부분 국내 계열사인 현대제철과는 시스템 자체가 다르다. 포스코는 지난해 태풍 힌남노로 인해 2조원에 달하는 피해를 입었고 지난해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절반수준으로 급감했다. 만약 포스코가 노조에 발목잡혀 생산차질로 이어질 경우 글로벌 기업으로서의 이미지 타격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포항경제에도 큰 타격을 입힐 것이다. 노사가 한발씩 양보해 슬기로운 타협점을 찾아주길 바란다. 포항경제를 위해서라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