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기업의 여성 고용률은 늘고 있으나 남녀간 임금 격차는 개선되지 않고 있다. 결혼 후 출산 육아 등으로 인한 경력단절이 한 원인으로 풀이된다. 남녀간 임금 격차는 사회 불평등을 낳고 여성의 삶의 질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우리 사회는 여전히 일하는 여성이 일과 가정을 양립하려면 많은 희생이 뒤따른다. 여성가족부가 양성평등주간을 맞아 지난 6일 발표한 ‘2023 통계로 보는 남녀의 삶’에 따르면 지난해 여성 고용률(60.0%)은 처음으로 60%대에 진입했다. 2010년(52.7%)과 비교하면 7.3% 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의미가 있다. 하지만 여성 임금근로자 중 저임금 근로자는 22.8%로 남성(11.8%)의 2배 가량이다. 임금 격차도 컸다. 여성 임금근로자의 시간당 임금은 1만8113원으로 남성(2만5886원)의 70% 수준이다. 월평균 임금도 268만3000원으로 남성(413만7000원)의 65.0%에 불과하다. 출산 육아 등으로 직장을 그만둔 후 재취업이 쉽지 않아 남성에 비해 평균 근로시간이나 근로연수가 짧기 때문이다. 정부가 저출산 문제를 국가 어젠다로 삼아 여러 대책을 내놓고 있는 만큼 육아로 인한 여성의 불이익이 없도록 정책적 노력도 뒤따라야 한다. 2021년 기준 성폭력 발생 건수는 3만2080건으로 전년(2만9467건) 대비 8.9% 증가했다. 불법 촬영물 발생 건수와 스토킹 범죄도 늘었다. 가정폭력도 전년 대비 1000건 이상 증가했다. 특히 살인 강도 강간 등 강력범죄 피해자 10명 중 9명이 여성이어서 치안에 대한 여성의 불안감이 훨씬 더 크다.여가부는 1997년부터 여성의 고용과 임금 변화 등을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이라는 이름으로 발표해왔다. 그러나 지난해 여가부 폐지를 공약으로 내세운 윤석열정부 출범 후 같은 발표의 제목이 ‘통계로 보는 남녀의 삶’으로 변경됐다. ‘여성’에서 ‘남녀’로 용어를 바꾼다고 갑자기 양성평등이 되는 건 아닐 것이다. 구체적인 실천 방안이 필요하다. 게다가 이번에 나타난 통계도 여성의 삶이 얼마나 고단한 것인가를 보여준 것이다. 이제 여성을 위해 정부와 여야가 나서야 할 차례다. 여성의 삶의 현실을 잘 살피고 불이익이 없도록 보듬어야 함은 물론 여성 임금 격차해소에도 적극 나서라.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