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을 앞두고 물가가 폭등해 주부들이 장보기 겁난다고 호소하고 있다. 한동안 조용했던 인플레이션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지난 5일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지난 8월 소비자물가는 1년 전보다 3.4% 상승해 3개월 만에 3%대로 올라섰다. 상승 폭은 지난 4월 이후 4개월 만에 가장 컸다. 폭염·폭우 등 이상기후로 농수산물 값이 5.4%나 급등한 데다 국제유가 인상까지 겹친 탓이다. 작년 상반기 국제유가 급등 여파로 물가상승률이 6월과 7월 2%대로 떨어졌는데 작년 8월에는 석유류 가격이 급락해 기저효과가 사라진 것이다. 휘발유 가격이 1600원대에서 다시 1700원대로 뛰면서 물가상승을 부채질하고 있다. 추석을 앞두고 밥상 물가 역시 천정부지로 뛰어 걱정이 크다. 시금치가 한 달 새 60%가량 폭등했고 배추·무·수박·토마토·사과 등도 12.1∼42.4% 뛰었다. 생활물가와 신선식품 물가는 상승률이 각각 3.9%, 5.6%에 달한다. 김병환 기획재정부 1차관은 “일시적 요인들이 완화하면서 10월 이후부터 물가가 다시 안정될 것”이라고 했다. 산유국의 감산 여파로 휘발유·경유 가격이 가파르게 오르고 추석 성수기, 버스·지하철 등 공공요금 인상, 원유(原乳) 가격 상승에 따른 식품값 도미노 인상, 원화 약세 등 인상요인이 수두룩하다. 물가 불안은 소비심리를 위축시키고 추석경기마저 어렵게 만들 것이다.이런 추세라면 올해 정부 목표치인 1.4% 성장도 힘들다는 비관론이 벌써부터 나온다. 사정이 이러니 물가를 잡자고 함부로 금리를 올리기도 어렵고 경기를 떠받치기 위해 재정을 풀기도 힘들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구조개혁 없이 재정·통화 등 단기정책으로 해결하려고 하면 나라가 망하는 지름길”이라고 경고하기도 했다. 이럴 때 일수록 정교한 정책조합이 절실히 요구된다. 정부는 유류세 인하 연장, 사과·배 등 추석 성수품 공급 확대, 농·축·수산물 할인 지원 등 비상 대책을 내놓았지만 더 세심한 대책이 요구된다. 특히 파급력이 큰 전기·가스 등 공공요금 인상은 시기를 분산하고 오름폭도 탄력적으로 조절해야 한다. 추석을 앞둔 국민들의 걱정을 덜어드리는 것도 정부가 해야 할 일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