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 낙후지역인 경북과 전남이 국립의과대학 설립을 위해 손을 맞잡았다. 경북·전남의 인구 1000명당 의사 수는 경북 1.4명, 전남 1.7명으로 전국 평균 2.1명을 밑돌고 있다. 특히 골든타임이 중요한 뇌졸중, 심근경색 등 중증 응급분야의 경우 전문의 수, 기준 설치율 등이 모두 평균 미만이다. 그야말로 의료 낙후지역이 아니라 의료 오지인 셈이다. 이철우 경북도지사와 김영록 전남도지사가 지난 4일 `국립의대 설립 촉구` 대정부 공동 건의문을 발표했다. 이들은 "오랜 세월 생명권과 건강권을 박탈당하며 수많은 불편과 위험을 감내해왔다"며 "지역 국립 의대 설립에 정부·국회가 적극 나서줄 것"을 요구했다.
특히 경북과 전남은 지형적 특성상 도서ㆍ산간 지역이 많아 의료접근성이 매우 취약하고 더욱이 외과ㆍ소아청소년과ㆍ산부인과 등 필수 의료분야는 거의 사라지는 상황에 처해 있다. 이 때문에 지역의 아이들과 산모들이 제때 진료를 받지 못하고 다른 지역과 수도권으로 원정 진료를 떠나야만 하는 안타까운 실정이다. 또 지역 공공의료기관은 고액 연봉에도 필수 의사 인력을 구하지 못하고, 공중보건의마저 줄어 지역 기초 의료체계가 붕괴하는 참담한 현실에 직면해 있다. 양도지사의 이번 건의문은 영·호남 상생을 넘어 지방 소멸을 막기 위한 절박한 몸부림이기도 하다. 인구 대비 의사 수가 OECD 회원국 중 바닥권이라는 건 주지의 사실이고 의사들의 반대에도 의대 정원 확대 방안을 모색할 수밖에 없는 이유다. 더욱이 경북은 국립 의대 하나 없는 의료 사각지대다. 타 지역 상급병원 이송과정에서 숨을 거두는 중증 외상·응급 환자나 수도권 병원을 찾아 한 달에 몇 번씩 새벽부터 일어나 하루를 기차나 버스에서 보내는 분들이 많다. 이철우 경북지사는 "의대 정원을 증원하는 것만으로는 지역의 근본적인 의료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반드시 지역 국립의과대학을 설립해 도민의 건강을 책임지고 살펴 어디서나 살기 좋은 새로운 지방시대의 문을 열겠다“고 하는 외침에는 그런 절박함이 담겨있다. 경북은 `웅도(雄道)`에 걸맞지 않게 국립 의대 하나 없이 불편과 위험을 감내해왔다. 경북과 전남의 `국립 의대 신설`은 지방 소멸을 막는 것은 물론 윤석열 정부의 지방시대 성공을 위해서도 꼭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