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신일권기자]포항 한동대학교 청소노동자들이 지난달 29일 인원 충원 합의 이행 촉구 및 열악한 노동환경 개선을 요구하며 전면파업에 돌입한 가운데 학교 측은 직접고용이 아니라는 이유로 교섭에 임하지 않아 분쟁이 장기화될 것으로 보인다.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경북지역지부 한동대 미화분회는 “지난 2019년 한동대학교에서 용역업체를 통해 일하던 청소노동자 인원 축소 및 해고, 2020년 청소노동자 33명 전원 해고 등 두 차례 사태 이후 학교는 해고 철회와 더불어 청소노동자들의 처우개선과 적정인원 충원 등을 약속해 협정서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어 “하지만 4년이 지난 지금에도 약속은 지켜지지 않고 있다”고 주장하며, “협정서의 주요한 내용은 대학 내 신축 건물이 늘면 그에 맞는 인원을 충원하겠다는 약속이었으나 대학측은 재정상의 위기를 핑계로 협정서 이행을 차일피일 미루었다”고 분개했다.이에 “지난 2월 8일 경북지방노동위원회 조정 결렬로 5월 18일부터 파업에 들어갔고 학교 측이 곧바로 대체인력을 투입하자 5월 26일 고용노동부 포항지청에 진정을 냈다”며 “이후 노동부 중재로 학교 측과 협의해왔지만 뚜렷한 합의를 이루지 못했다”고 설명했다.한동대 미화분회는 “대학 스스로가 사회적 약자라 불리는 청소노동자 처우개선 약속을 지키지 않고, 하청도급 회사 소속이라 학교와 계약 관계에 있지 않다며 책임을 회피하는 모습이 개탄스럽다”고 토로했다. 그러면서 “심지어 가장 낮은 곳의 사람을 섬기고 내 이웃을 사랑하라는 기독교 정신을 이야기 하는 대학이 교내의 최저임금 노동자들을 외면하고 이웃사랑을 이야기 할 수 있는지 의심스럽다”며 성토했다.이들은 “학교가 스스로 한 약속을 지키지 못하는 상황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 협의 하는 자리에서 오히려 인원 감축과 AI시대에 맞게 청소기계 로봇을 도입하여 청소 업무를 수행시키겠다는 비상식적 안을 들고 나온 것은 협의에 대한 진정성이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며 “노조는 비상식적이고 안하무인격인 한동대 협의 태도에 분노하며 오늘부터 사태 해결 때까지 무기한 전면파업에 들어간다”고 예고했다.이에 대해 한동대 관계자는 “한동대는 용역업체와 1차 계약을 통해 청소 용역을 제공받고 있으며, 사실상 노조원들의 요구는 학교가 아닌 고용업체에서 담당해야 한다”며 한동대는 계약 당사자가 아니며, 직접적인 계약 관계가 없는 청소노동자의 노동 조건에 대한 직접적인 조정 권한이 없다”고 선을 그었다.이어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태가 원만히 해결될 수 있도록 청소 노동자들의 요구를 직접 경청하고 대화를 이어가고 있으며, 청소 노동자들의 요구에 대응해 사태를 조속히 해결해 줄 것을 용역업체 측에 지속적으로 요청하고 있다”며 “꾸준한 대화와 타협 등을 통해 문제를 해결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