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포항제철소 수소환원제철소 건설에 포항지역 시민단체들도 찬성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포항시민연대`와 `탄소중립실천 포항시민연대`는 지난 29일 포항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050탄소중립`을 선언한 포스코의 친환경 미래소재 전환과 친환경 사업을 위한 수소환원제철소 건설에 포항시가 적극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들 단체는 이제껏 반대해온 일부 환경단체와 시민의 입장과 달리 "포항시가 적극 나서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 단체의 이런 움직임은 포항 발전에 포스코의 수소환원제철소가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가를 잘 알고 있고 왜 건설해야 하는지도 알고있다. 그러기에 이제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현안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것이다.
이들 단체는 "지난해 태풍 `힌남노`처럼 세계 곳곳의 이상기후로 많은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그 원인인 이산화탄소를 볼 때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배출하는 곳이 포스코라는 것을 모르는 사람이 없다"면서 "수소환원제철은 `탄소제로 포스코`를 만들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포스코가 경쟁력을 가지려면 탄소세 등 국제적 제약에 대한 대비를 반드시 준비해야 한다. 포항과 한국의 경제를 이끌어온 철강산업을 일몰시킬 생각이 아니라면 수소환원제철에 토를 단다는 것은 무지의 소산"이라고 비판하기도 했다. 이는 일부 반대하는 시민들에게 경종을 울려준 셈이기도 하다. 포스코는 포항제철소 앞바다 132만2300여㎡를 매립해 수소환원제철소를 건립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으나 시민, 환경단체 등의 반발로 추진을 하지 못하고 있다. 지난 6월 수소환원제철소 용지 확보를 위한 합동설명회가 환경단체와 일부 주민들의 반발로 무산되기도 했다. 수소환원제철소는 지금 당장 착공에 들어간다해도 이미 늦다. 더 이상 지체할 수 없는 중요한 국가 프로젝트다. 포스코의 수소환원제철 프로젝트는 20조 규모의 매머드급이다. 포항으로서는 절대 놓칠 수 없는 미래 먹거리다. 그런데 포스코도 당장 급하지만 더 다급해야할 경북도와 포항시는 오히려 느긋한 모습이다. 언제까지 주민반대 핑계만대고 구경만 하고 있을건가. 시민단체가 수소환원제철소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힘을 보태주고 있는만큼 인허가 등의 칼자루를 쥐고 있는 경북도와 포항시가 적극 나서주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