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최종태기자]지속가능한사회를 위한 포항시민연대, 탄소중립실천포항시민연대는 29일 오전 10시30분께 포항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탄소중립경제와 포스코 수소환원제철소 건립에 지역 정치인들이 적극 나서 줄 것을 촉구했다.이들 단체는 “포항의 환경과 시민들의 건강을 생각한다면 수소환원제철소 건립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중요한 정책이다”며 “오는 2026년부터는 유럽으로 철강을 수출하려면 석탄으로 생산한 철강제품에는 탄소경세가 붙게 된다. 따라서 탄소세로 인해 가격이 상승하게되면 포스코의 철강제품 수출이 불가능하게 된다”고 주장했다.이어 “포항의 국회의원들이 지구온난화,극한 호우,기후 재앙에 대한 현실을 모를리기 없다. 때문에 포항에서도 수소환원제철소를 바탕으로 탄소중립경제를 추진하는 것만이 포항의 철강경제를 살리고 기후재앙을 극복할 대안이다.”며 “국가 기간산업인 포항의 철강산업이 탄소중립경제의 튼튼한 기초가 되도록 하기 위해 지역 국회의원들은 ‘탄소중립경제와 수소환원제철소 간립을 위한 지원과 협력에 관한 법률 제정’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또한 “탄소중립경제는 노동자 근로환경에도 큰 변화를 줄 것이다. 사용자와 정부가 탄소중립추진전략에서 노동자의 근로환경 혁신과 복지에도 관심을 갖고 추진해 줄 것을 촉구한다.”며 “많은 포항시민들이 포스코 수소환원제철소 건립에 관심을 갖고 참여해 환경적으로 개선할 점은 적극적으로 의견을 개진하고, 포스코에서도 이를 수용함으로써 지역민과 포스코가 발전적인 관계를 지속해 가기를 희망한다”고 역설했다.유성찬 지속가능사회연구소장은 “2050탄소중립 추진전략에 따라 반드시 성공해야 할 만큼, 탄소중립경제는 국가 생존의 과제가 됐었다. 포항경제와 한국경제의 버팀목인 포스코의 탄소중립경제 실천을 위한 수소환원제철소 건립이 포항의 생존과 직결된다고 판단한다. 또 국가기간산업으로서 포항의 철강산업이 탄소중립경제의 튼튼한 기초가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탄소중립경제 추진과 수소환원제철소 건립 지원협력에 관한 법률’ 제정에 지역 정치인들이 적극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