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김영식기자] 대구광역시는 오는 31일부터 코로나19가 4급으로 전환되고 일반의료체계 내에서 관리됨에 따라, 시민 안전 및 불편 최소화를 위한 코로나19 대응 계획을 밝혔다.
코로나19 감염병 등급이 2급에서 4급으로 하향되면서 위기단계 조정 로드맵에 따른 2단계 조치가 시행된다. 단 감염에 취약한 고위험 시설·집단 보호와 안정적인 대응을 위해 위기 경보 수준은 `경계` 단계를 유지한다.
이번 조치의 주요 내용은 ▲고위험군 보호를 위한 마스크 착용 의무 현행 유지(병원급 의료기관 및 입소형 감염취약시설) ▲의료기관, 요양병원·시설의 입원·입소 전 선제검사 유지 ▲감염취약시설 입소자 외출·외박 전면 허용 ▲일반의료체계 전환(중환자 진료를 위한 상시 지정병상 운영· 및 환자 병상배정체계 유지) ▲의료기관 유료 검사체계 전환(고위험군 검사비 일부 지원) ▲치료제·백신 무상 지원 ▲중증 환자 입원 치료비 일부 지원 ▲생활지원비·유급휴가비 지원 종료 ▲표본감시 체계 전환 등이다.정부의 ‘코로나19 4급 감염병 전환 및 2단계 조치 시행 조정에 따라, 대구광역시도 자체 계획을 수립하고 분야별 대응에 나선다. 코로나19 감염병 등급은 4급으로 낮아졌지만, 위기 단계는 ‘경계’ 상태로 유지됨에 따라, 지역재난안전대책본부를 지속 운영해 방역 상황을 안정적으로 관리한다.코로나19 고위험군(60세 이상, 감염취약시설 종사자, 의료기관 입원환자 등) 검사를 위한 선별진료소 16개소는 유행 상황 안정 시까지 지속 운영한다. 일반의료체계로 전환돼 모든 의료기관에서 코로나19 진료가 가능하지만, 코로나19 중증 환자 관리를 위한 상시 지정병상은 지속 운영하고, 필요시 추가 지정할 계획이다. 또 고위험군에게 처방되는 먹는 치료제 처방기관 641개소 및 담당약국 180개를 지정·운영하고, 해당 기관 정보는 시 홈페이지, 코로나19 대표 누리집, 심평원 홈페이지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해 시민 불편을 최소화 한다. 감염취약시설 관리를 위해, 대구광역시 및 구·군 전담대응기구를 중심으로 확진자 발생 모니터링을 지속하고 집단발생 시 신속 대응한다. 또 시설 내 마스크 착용, 입소자 선제검사 실시 등 감염관리 상황을 9월 초 집중 점검하고, 종사자 교육 및 상황별 모의훈련 지원 등 현장 대응 역량 강화에도 힘쓸 계획이다. 겨울철 대비 코로나19 백신접종은 65세 이상, 면역저하자 등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오는 10월 중 무료 시행될 계획으로, 정부 세부계획에 따라 안전하고 신속한 접종 시행이 되도록 철저하게 준비할 계획이다. 오는 31일부터 코로나19가 4급 감염병으로 전환됨에 따라, 기존 전수감시에서 표본감시 체계로 전환되면서 일일 확진자 신고 집계는 중단된다. 전환 이후에는 유행상황 모니터링과 변이 검사를 위해 지역 내 24개 양성자 감시기관을 지정해 유행 양상을 모니터링한다.김종한 행정부시장은 “코로나 19라는 3년 6개월간의 기나긴 터널을 지나 ‘4급 감염병으로 전환’하게 됐지만, 여름철 확산세 지속 및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로 인한 유행은 여전히 경계해야 할 부분이므로 고위험군 보호를 위한 의료기관 마스크 착용 및 중환자 지정 병상 체계 등 고위험 집단·시설 보호를 위한 조치와 지원은 지속될 것이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