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이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를 24일 오후 1시부터 방류했다. 계획대로라면 약 135만t의 오염수를 30년 동안 태평양에 흘려보내게 된다. 이 오염수가 태평양을 거쳐 우리나라 해역에 도달하기까지는 4~5년이 걸리는 것으로 추정되지만 국민들의 불안감은 벌써부터 나타나고 있다. 우리 정부는 오염수 방류를 반대하지 않는 애매한 입장을 취하고 있다. 정부가 내린 판단의 대상은 `일본 측의 방류 계획`이다. 일본 측 방류계획이 `계획대로` 이행하는지를 지켜보겠다는 의도라면 지금부터가 중요하다. 한반도 인근 해수와 수산물의 방사능 오염 여부에 대한 철저한 검사와 관리는 우리가 할 일이다. 일본도 방류 과정의 모든 정보를 투명하고 신속히 공개하는 게 마땅하다. 향후 일어날 사태의 모든 책임은 전적으로 일본 정부가 져야 하는 것은 두말할 필요도 없다.
문제는 추석을 당장 코 앞에 둔 동해안 수산업계와 어민, 상인들의 걱정은 이만저만이 아니다. 오염수가 당장 영향을 미치지 않고 무해하다고 아무리 목소리를 높여도 먹혀들지 않는다. 국민들이 무조건 수산물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정치적 문제가 크다. 복잡하게 얽혀 있는 여야의 입장차이 때문에 목소리도 낼 수 없는 처지다. 이런 상황에서 국민들에게 일본 후쿠시마 오염수가 아직 우리해역으로 오지 않아 우리 수산물은 괜찮다고 아무리 떠들어도 과연 이를 믿을 국민이 몇 명이나 되겠는가. 양이 적고 많고의 문제를 떠나 방류 이후 동해안 수산물에서 방사성 물질이 검출되지 말라는 법이 없다. 만에 하나 방사성 물질이 검출된다면 그땐 누가 책임질 것인가. 그때가서 일본에 그 책임을 묻기엔 너무 늦다. 일본이 이미 방류를 한 마당에 중단하라 요구하고 떼를 쓴다고해도 늦었다. 지금 정부가 취해야 할 태도는 방류가 조금이라도 계획과 다르게 진행된다면 즉각 일본 측에 방류 중단을 요청해야 한다. 원전 오염수가 가장 먼저 도달하는 캐나다와 미국이 반대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국제사회가 과학적 근거를 갖고 이를 수용하는 분위기다. 그렇다고 감시체계가 흐트러져서는 안된다. 일본 측도 30년간 계획대로 오작동 없이 가동되고 있는지 모든 과정을 낱낱이 공개해 주변국의 우려를 불식해야 한다. 어제만 해도 일본 언론은 "탱크에 담긴 처리수의 방사성 물질 농도는 제각각"이라며 "탱크의 70%에는 방사성 물질의 농도가 기준치 미만까지 떨어지지 않은 물이 있다"고 보도해 우려를 낳고 있다. 자국 언론이 이렇게까지 보도한 이유가 무엇이겠나. 우호적인 한일관계를 위한 것이라고 하지만 정부는 무엇보다 국민안전을 최우선시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