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김영식ㆍ김용묵기자]2030년 개항을 목표로 추진 중인 대구경북신공항(TK신공항)이 미주·유럽 직항이 가능한 물류·여객 복합공항으로 건설된다.
24일 대구시와 경북도에 따르면 TK신공항에 들어설 민간공항의 부지면적은 92만㎡(28만평), 터미널과 계류장, 주차장 등 공항시설은 51만㎡(15만평)이며, 총사업비는 2조6000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이런 조건으로 건설될 경우 비용편익(B/C)이 1 이상 나와 경제적 타당성을 갖춘 것으로 평가됐다.활주로는 중대형 화물기를 포함해 모든 기종이 미주, 유럽까지 운항할 수 있는 3500m로 지어지며, 여건 변화에 대비해 여유 부지 300m를 확보하게 된다. 여객 수요는 코로나19 직전인 2019년 대구공항 최대 이용객 467만명보다 3배 이상 많은 1226만~1573만명, 화물 수요는 2019년(3.5만톤) 대비 5배 이상 늘어난 15.2만~21.8만톤으로 예측됐다.항공 수요 증가에 대비해 공항시설의 확장성이 필요하다는 전문가 등의 의견이 반영돼 여객·화물터미널 등이 단계적으로 확대된다.여객터미널의 경우 현재의 대구공항보다 4배 넓은 10만2078㎡(3.1만평)로 개항한 뒤 확장 후 15만2078㎡(4.6만평)로 넓힌다. 화물터미널은 대구공항 대비 12배 수준인 9865㎡(3000평)로 시작해 이후 2만9865㎡(9000평)로 확장된다.신공항을 오가는 길도 새로 뚫린다.중앙고속도로와 직결되는 노선 6.6㎞와 의성군에 구축할 예정인 물류단지를 연결하는 도로 4.6㎞가 신설된다.또 신공항 연계 교통망으로 국지도 68호선과 중앙고속도로 확장, 북구미~군위JC 고속도로 신설, 신공항 광역철도(대구~경북 의성) 등이 도로·철도망 계획에 반영돼 신공항 개항 이전 완공될 예정이다. 앞서 군공항 이전 사업은 지난 14일 기획재정부의 기부 대 양여 심의에서 통과됐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대구경북신공항은 사람, 물류의 이동과 함께 문화와 비즈니스 교류의 관문이자 새로운 경제권 형성의 구심점이 될 것”이라며 “대한민국 어디서나 살기 좋은 지방시대, 경북이 주도하는 지방시대를 만드는 대변혁의 전환점이 될 수 있도록 개항 전까지 관련 기반 시설을 확충하는 작업에 집중해나가겠다”고 밝혔다.한편 국토교통부는 이런 내용의 `대구 민간공항 이전 사전타당성 검토 연구용역` 결과를 25일 발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