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조준영기자]일본이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를 24일부터 방류했으나 아직 국내 주요 수산물 가격에는 큰 변동이 없는 상황이다. 하지만 이날 실제 방류 이후 소비자 사이에서 불안 심리가 확산하며 소비 부진으로 인해 수산물 판매량이 감소하고, 수산물 가격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수산업계는 보고 있다.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농산물유통정보에 따르면 전복(중품) 도매가격은 17∼23일 ㎏당 2만9천원대를 유지했다. 전날 전복 도매가격(2만9천300원)은 한 달 전의 3만420원과 비교하면 3.7% 떨어졌다.1년 전에 비해서는 15.8% 저렴하고 평년과 비교하면 17.6% 낮은 수준인데, 이는 산지에서 출하량이 증가한 데 따른 것이다. 평년 가격은 2018∼2022년 가격 중 최고·최소치를 제외한 3년 평균값이다.전날 오징어(중품) 도매가격은 1㎏에 1만3천100원으로 일주일 전의 1만3천200원과 유사한 수준이다.1년 전의 8천850원과 비교하면 48.0% 올랐고 평년보다는 37.9% 비싼데, 이는 공급량이 줄었기 때문이다.건멸치(중품) 도매가격은 최근 1주간(17∼23일) 1.5㎏에 2만800원으로 변동이 없고, 한 달 전보다는 2.9% 떨어졌다.1년 전보다는 10.3% 비싸고, 평년과 비교하면 15.3% 올랐다.전날 김 도매가격은 1속(100장)에 6천774원으로 한 달 전과 동일하다.생산량 감소와 수출 증가로 인해 1년 전, 평년과 비교하면 각각 15.8%, 7.8% 비싼 수준이다.고등어(중품)의 경우 공급 증가에 따라 전날 도매가격이 10㎏에 5만4천320원으로 일주일 전보다 10.2% 감소했고, 한 달 전보다 8.8% 하락했다.다만 전날 가격은 1년 전과 비교하면 5.7% 비싸고, 평년보다는 20.0% 높다.aT에 따르면 천일염(굵은소금) 소매가격은 최근 1주간 5㎏에 1만2천원대를 유지하는 등 큰 변동은 없는 상황이다.전날 가격(1만2천500원)은 한 달 전과 비교하면 7.2% 떨어졌다.수산업계는 오염수 방류가 시작되면 수산물을 찾는 사람이 줄고, 수요 감소로 인해 가격이 하락할 가능성도 있다고 보고 정부에 대책 마련을 요구하고 있다.한편 해양수산부는 수산물 소비 급감을 막기 위해 올해 제로페이·환급 등을 포함한 수산물 상생 할인 예산으로 640억원을 편성한 상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