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박동수기자]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이하 민노총) 전국공무원노동조합(이하 전공노) 소속인 경북지역본부 안동시지부(이하 안동시지부)가 민노총과 전공노 탈퇴를 추진한다. ▶관련기사 19면
절대적 중립을 지켜야 할 공무원이 잦은 정치적 투쟁과 상하부 조직 간 소통 부재, 무리한 분담금 부담 등이 민노총 탈퇴의 주된 이유다. 그리고 2030세대 공무원들의 이념적 정치행태에 강하게 반발하고 있는 것도 탈퇴를 부추긴 것으로 알려졌다. 20일 전공노 안동시지부에 따르면 유철환 안동시지부장은 최근 공무원 내부 행정시스템을 통해 향후 임시총회에서 찬반투표로 조직 형태 변경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라는 입장문을 발표했다.유 지부장은 입장문에서 ▲정치인 석방, 보안법철폐, 사스반대운동 등 민주노총·전공노의 잦은 정치적 투쟁 ▲현장 조합원의 목소리가 반영되지 않은 정책을 무리하게 추진하는 전공노 운영방식 ▲조합·본부에 납부하는 1인당 1만1000원의 분담금에 대한 지부 재정 부담 등을 탈퇴의 주된 이유로 꼽았다.투표는 이달 말 조합원 1300여 명을 상대로 진행된다.
그간 민노총과 전공노는 이석기 전 통합진보당 의원의 석방, 사드 반대와 더불어 최근 윤석열 정권 퇴진, 이상민 행안부장관 파면 요구 등 정치적 색채가 드러나는 행위를 끊임없이 하고 있어 일선 지부의 공무원들도 큰 부담을 느끼고 있었다.
또 정치투쟁을 일삼는 상급 단체에 납부해야 하는 분담금에 대한 불만이 높아지면서 조합원들 사이에도 상당한 거부감을 느끼는 분위기다. 안동시지부의 경우 조합비 1만5000원 중 전공노 8000원, 경북본부 3000원을 분담금으로 납부하고 조합원에게는 27%만 사용하고 있다.
전공노 안동시지부 관계자는 "산하 노조의 집단탈퇴 금지 규약을 시정하라는 고용노동부의 시정명령으로 민노총 탈퇴가 쉬워졌다"며 "원주시에 이어 전공노를 탈퇴하는 지부가 2년 만에 다시 발생할지 귀추가 주목된다"고 말했다.
한편 전공노 안동시지부에 이어 경주, 김천시청 공무원 노조도 민노총 탈퇴를 저울질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