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조영삼기자]한국해양과학기술원 울릉도·독도해양연구기지는 `2023 울릉도 스쿠버다이빙 캠프`를 지난 21~23일까지 개최했다.   이 행사는 울릉군,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한국해양대학교가 후원을, 극지해양미래포럼, 국제신문,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가 함께 열었다.   캠프는 지난 2월 울릉군과 한국해양대학교간 체결된 울릉군 해양인재 육성 및 해양수산 발전에 관한 업무협약과 2023년 섬의 날 행사 울릉도 개최를 기념한 것이다. 또한 동해안 최초의 해양보호구역인 울릉도 해양보호구역의 홍보 일환으로 마련됐다. 이번 캠프에는 사전 공개모집을 통해 선발된 울릉주민 21명이 참여해 스킨스쿠버 이론 및 해양실습 교육 등 체계적인 스킨스쿠버 교육을 받았다.   교육강사에는 수중사진가인 국제신문 박수현 기자, 극지해양미래포럼 김성복 리더, 해양환경공단 오승호 강사, 동해해양경찰서 조희정 강사, 박준오 강사 등이 참여해 해양보호구역인 웅포항 수중 정화 활동도 함께 펼쳤다.행사에서 한국해양대학교 해양스포츠과학과 조우정 교수는 `다이벙 산업의 현황`이라는 주제로 울릉도·독도해양아카데미 특강을 했다. 해양수산부 해양관광SOC 자문위원이기도 한 조 교수는 강연을 통해 "울릉도는 해중경관자원이 우리나라에서 가장 우수한 지역으로, 울릉도 해중경관지구 지정 및 해양수산부 해양레저관광거점 사업 추진을 통해 해양레저관광 복합 인프라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울릉도 해역은 동해안 최초의 해양보호구역이면서, 또한 우리나라 최초의 국가지질공원으로 지정된 해역으로서, 우리나라에서 가장 뛰어난 해중경관을 보유하고 있어 독도와 함께 다이버들이 가장 선호하는 지역으로 평가받고 있다.    또한 기후변화에 따른 해수온 상승으로 해양레저 활동 기간이 과거에 비해 크게 증가하면서 향후 해양레저산업 활성화가 기대되는 지역이다. 행사에 참여한 한국국토정보공사 울릉지사 이상화 씨는 “이번 캠프에서 배운 체계적인 스킨스쿠버 교육을 통해 보다 안전한 해양레저체험과 함께 울릉도 바다에 대한 이해를 통해 업무에도 도움이 될 것 같다”고 소감을 밝혔다.   연구기지는 다음달 8일 울릉도에서 개최되는 제4회 대한민국 섬의 날 행사에서 섬의 날 최초 제안자이며 한국섬재단 이사장인 목포대학교 홍선기 교수를 초청해 `섬의 시대, 울릉도의 시대 - 유네스코 세계유산을 향한 꿈의 도전`이라는 주제로 울릉도독도해양아카데미 4차 특강을 진행할 예정이다.   캠프를 주관한 울릉도독도해양연구기지 김윤배 대장은 “울릉도 해양레저산업은 울릉도의 숨겨진 가치와 울릉도만의 색깔을 빛나게 할 수 있는 울릉도의 미래 먹거리다"라며 "앞으로 울릉군 및 지역주민과 협력해 해양과학과 해양레저를 접목한 해양교육 활성화에도 기여하도록 노력할 방침이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