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노조가 지난 12일 ‘윤석열 정권 퇴진’을 요구한다면서 파업을 벌였다. 생산라인을 4시간 동안 멈춰 2000대 이상 생산 차질이 빚어졌다. 가뜩이나 신차 출고에 6개월 이상 걸리던판국에 출고가 더 밀리게 생겼다. 이날 총파업에는 현대자동차와 HD현대중공업, 한화오션 등 자동차·조선 업계의 대단위 노조가 가세해 민노총에 힘을 실어주는 정치파업색이 짙어 보였다. 민노총 역시 정치 파업에 동조한다는 것을 보여주려고 벌인 것이라고 했다. 조합원 4만여 명을 가진 국내 최대 노조인 현대차가 임금이나 근로 조건과는 아무 상관없는 정치 목적을 위해 법 절차를 무시한 채 전국 공장의 생산라인을 멈춰 세운 것은 명백한 불법파업이다.  현대차 노조는 지난 2018년 11월 민노총 총파업 합류 이후 5년 만에 벌이는 파업이다. 섀시와 파워일렉트릭(PE) 모듈을 공급하는 모트라스 노조도 이날 8시간 동조 파업을 했다. 모트라스 노조 파업으로 기아 화성 공장 등도 일부 생산 차질을 빚었다. 사측과 임금 및 단체협약을 위한 교섭을 진행 중인 현대차 노조는 이번 파업을 앞두고 쟁의조정 신청과 조합원 투표 등 쟁의권 획득을 위한 기본적인 절차를 밟지 않았다. 현대차 노조의 이런 불법적인 행동은 ‘노조왕국’이라는 한국의 노동현실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노조 집행부가 파업을 결정하면 사실상 그대로 파업으로 이어진다. 그렇다고 노조원들에게 불이익이 돌아가는 것도 없다. 회사는 노조 눈치만 보고 있다. 노조는 ‘노란 봉투법’이라는 든든한 빽을 믿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비효율적인 노동행태가 싫어서 포스코 노조는 민노총을 탈퇴했다. 포스코 노조는 상급 단체가 없는 기업노조 형태로 운영되고 있고 대표교섭 노조는 한국노총이다. 포스코 노조는 현대차 노조와 달리 노조원들의 복지를 위해 활동한다. 올해도 기본급 13.1% 인상 등의 내용이 담긴 요구안을 들고 사측과 협상을 진행하고 있고 △조합원 대상 자사주 100주 △성과 인센티브(PI) 제도 신설 △중식비 인상 △하계휴가 및 휴가비 신설 등 노조원을 위해 일한다. 대기업 노조의 막무가내식 파업을 막으려면 법치주의 원칙에 따른 엄벌과 그에 대한 손해 배상, 나아가 불법 파업 시 대체 근로자를 투입할 수 있도록 노동법을 개정해야 한다.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회원국 중 파업시 대체근로자 투입을 사실상 막고 있는 나라는 한국밖에 없다. 40분 거리에 있는 울산의 현대차 노조와 포항의 포스코 노조는 달라도 너무 다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