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신일권기자]자영업자 10명 중 5명이 올 하반기에 더 어려울 것으로 전망했다. 작년보다 올해 상반기 매출이 감소했다는 자영업자도 60%에 달했다.
2일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시장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자영업자 2023년 상반기 실적 및 하반기 전망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자영업자의 상당수는 하반기에도 경기가 어려울 것으로 내다봤다. 이번 조사는 음식점업, 숙박업, 도・소매업, 기타서비스업 등 자영업자 500명을 대상으로 했다.`올해 상반기 매출과 순익 실적`에 대한 질문에 자영업자의 63.4%는 올해 상반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감소했다고 답했다. 순익이 감소했다는 응답은 63.8%로 나타났다. `하반기 매출 전망`은 올 상반기보다 감소 50.8%, 증가 49.2%로 나타나 여전히 매출 감소를 우려하는 비율이 높았다.올해 가장 부담된 경영비용 증가 항목으로는 △원자재·재료비(20.9%) △인건비(20.0%) △전기·가스 등 공공요금(18.2%) △임차료(14.2%) 순으로 나타났다.이같은 고정비용 부담에 기존 대출 상환을 위해 추가 대출하는 사례도 증가하고 있다. 조사 대상 자영업자들의 평균 대출금액은 약 8300만원인 것으로 조사됐다. 대출 규모가 1억원 미만이라는 답변이 대부분(75.4%)이었고 1억5000만원 이상 대출을 했다는 응답은 약 13.4%였다.한편 자영업자 51.2%는 올해 초에 비해 대출금액이 증가했다고 응답했다. 감소했다는 응답은 48.8%였다. 대출 증가 이유로는 △임차료, 인건비, 공공요금 등 고정비 지출(46.9%) △기존 대출이자 상환(25.0%) △원자재·재료비 지출(15.2%) 등 기존 사업의 확장 혹은 투자를 위한 추가 대출보다는 기존 사업 유지를 위한 대출이 많았다.
반면 대출 감소 이유로는 향후 금리 상승 우려로 기존 대출 축소(40.6%)가 가장 많았다. 그 뒤를 매출 및 수익성 개선으로 인한 기존 대출 상환(20.9%), 대출한도 문제로 인한 추가 대출 불가(17.2%) 등이 이었다.
내년 이후 경기가 회복될 것으로 전망하는 가운데 자영업자의 절반 가까이가 실적 악화에 따라 3년 내 폐업을 고려한다고 답했다. 경기회복 시기에 대해 자영업자들의 84.4%가 내년인 2024년 이후로 전망했다. 올 하반기에 경기가 살아날 것이라고 보는 비율은 12.8%에 불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