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조필국기자]대구 동구의회 의원연구단체인 `새동만(새로운 동구를 만들자)`은 지난달 27일 대구 동구의회 5층 의회 연구실에서 ‘동구 교육환경 개선방안’ 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개최했다.최종보고회에 앞서 김재문 의장은 “현재 동구가 교육에 대한 열의가 상당하다”며 “연구 내용을 잘 숙지해 동구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많이 노력해 주시기를 바란다”고 말했다.보고회는 김재문 의장, 김영화 의원, 배홍연 의원, 전문위원 및 정책지원관 등이 참여하여 연구용역 최종보고를 듣고 질의응답 시간을 가지며 연구 주제에 대해 활발한 토론을 진행했다.대구 동구의 중학교 비율은 대구 내 구·군 중 가장 낮았으며, 2021년도 동구의회에서 실시된 ‘통학 실태 및 교육 수요조사’에 따르면 동구 주민 55%는 이사나 전학을 고려하고 있으며 주요 고려 이유는 거주지 인근 학교 부족과 생활 및 교육환경 개선이라고 답했다.실제 연구 과정 중 진행한 학생 집단 인터뷰에서는 “동구에 대한 편견이 있어요”, “(교육)인프라가 많이 구축이 안돼있으니까” 등 동구 교육에 대한 부정적 인식에 대해 직접 언급했다.김영화 의원은 “현재 초등학교만 지나면 중학교, 고등학교는 수성구로 진학하는 것이 동구 교육의 현실이다”라며 “한마음 한뜻으로 우리 동구 교육이 재진할 수 있는 동기가 됏으면 좋겠다”고 말했다.(주)스노우볼 정책연구소는 교육에 대한 권한이 지방으로 이전되는 흐름 속에서 윤석열 정부 120대 국정과제로 교육부 4대 교육 입법인 교육자유특구에 관심을 두고 동구만의 교육 전담 기구 설립을 강조했다.교육자유특구는 학교 설립에서 운영까지에 교육 관련 규제를 완화해 자율성을 보장하고 지역별 맞춤형 공교육으로 교육수요자의 선택권을 확대한다. 특구 내 대안학교의 설립, 교육청-지자체 중심의 창의적인 교육을 추진할 수 있다. 동구 주민들의 요구사항인 △학교 수 부족 문제 해결 △교육 인프라 구축 △특색있는 교육과정 운영 등을 특구 지정을 통해 추진할 수 있다.이번 연구에서는 △학교복합시설 통합학교 신설 추진 △동구 교육환경 개선 관련 지원 조례 제·개정 제안 △혁신교육지구 설립 및 운영을 위한 지역혁신교육 포럼 설치 및 운영 조례 제정안을 제시했다. 배홍연 동구의원은 “명품교육도시가 되기 위해서는 진정 아이들을 위한 교육이 먼저가 돼야 한다”며 “이번 연구를 시작으로 동구의 교육환경 개선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