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력원자력이 원전 단일 설비 수출로는 역대 최대인 2600억원 규모의 루마니아 삼중수소제거설비 건설사업을 수주했다고 지난 26일 밝혔다. 이 프로젝트는 루마니아 체르나보다 중수로 원전 가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방사성물질인 삼중수소를 포집·저장할 수 있는 안전 설비를 건설하는 사업이다. 지난해 8월 이집트 엘다바 원전 프로젝트 수주(약 3조원)에 이은 윤석열정부의 두 번째 원전설비 수출계약이다. 국내 원전 생태계 활성화는 물론 한국경제를 견인하는 반가운 일이다. 현대건설의 사우디아라비아 50억달러(약 6조5000억원) 플랜트 건설사업 수주에 이은 이번 루마니아 원전 설비는 윤석열 정부의 친원전 정책이 가져온 세일즈 외교 성과다. 특히 주목할 것은 한국이 원전설비 건설 강국으로서 입지를 빠르게 회복하고 있다는 점이다. 지난 26일 울진 신한울 원전 3.4호기 기초 공사를 시작으로 국내 원전산업이 이제야 본궤도에 오르고 있는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 삼중수소제거설비를 상용화해 운영하는 나라는 한국과 캐나다뿐이다. 문재인 정부 이전까지만 해도 원전산업은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춘 우리나라의 주력 수출산업이었다. 하지만 문정부 5년간 탈원전 정책 탓에 원전산업이 움츠러들어 고사 직전까지 갔었다. 탈원전으로 인한 피해액이 2030년까지 47조4000억원에 달한다는 서울대 원자력정책센터 보고서가 나올 정도였다. 탈원전 정책을 폐기하고 친원전 정책을 도입한 윤석열 정부의 탁월한 선택이었다.정부는 올 초 2027년까지 해외건설 수주 연 500억달러를 달성해 세계 건설시장 점유율 4위 국가로 도약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새로운 수출 동력으로 인프라 건설, 원전, 방산 분야를 육성하겠다고 강조했다. 정부 측은 “올 상반기에만 165억4000만달러의 투자 유치를 기록했다”며 “이는 역대 최대 규모이자 지난해 상반기 대비 75% 증가한 수치”라고 했다. 윤석열 대통령도 국무회의에서 “세일즈 외교와 대대적 규제 해제로 대규모 투자를 유치했다”며 “기업들이 어디든 마음껏 뛰도록 뒷받침하겠다”고 했다. 한국은 수출로 먹고사는 나라다. 하지만 수출이 급감하면서 나라 경제 전반이 휘청거리고 있다. 글로벌 복합 경제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해외에서 새로운 먹거리를 창출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규모 해외 원전수주는 기업의 기술 경쟁력에 더해, 정부가 외교와 금융 인프라로 지원사격을 해줘야 결실을 맺을 수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