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안종규기자]50대 이하 부부의 절반 이상이 맞벌이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은 2022년 하반기 지역별고용조사 맞벌이 가구 및 1인 가구 취업 현황을 20일 발표했다.작년 하반기(10월) 기준 맞벌이 가구는 584만6천 가구로 1년 전보다 2만 가구 증가했다.전체 유배우 가구(1천269만1천 가구) 가운데 차지하는 비중은 46.1%로 0.2%포인트(p) 늘었다. 이는 관련 통계가 현 기준으로 개편된 2015년 이후 역대 가장 컸다.작년 하반기 고용 시장의 호조세 등으로 부부 모두가 일하는 가구의 비중도 늘었다는 게 통계청의 분석이다.가구주 연령별로 맞벌이 가구 비중 증가율을 보면 15∼29세(7.3%p), 30대(0.8%p), 40대(0.4%p), 50대(0.0%p) 등 전 연령대에서 커졌다.비중은 50대(55.2%)와 40대(55.2%)에서 전 연령대 가운데 가장 컸다. 30대(54.2%)와 15∼29세(50.1%) 등이 뒤를 이었다.15세∼59세 부부 절반 이상이 맞벌이를 하는 셈이다.60세 이상 부부 중에는 31.1%가 맞벌이를 해 비중이 1년 전보다 0.5%p 늘었다.18세 미만 자녀가 있는 맞벌이 가구는 216만8천 가구로 1년 전보다 7만9천 가구 감소했다.18세 미만 자녀를 둔 유배우 가구(406만9천 가구) 가운데 비중은 53.3%로 1년 전과 동일했다.막내 자녀의 연령별로 보면 맞벌이 가구는 7∼12세(78만3천 가구), 6세 이하(77만8천 가구), 13∼17세(60만7천 가구) 순으로 많았다.유배우 가구 대비 맞벌이 비중은 13∼17세(59.4%), 7∼12세(55.6%), 6세 이하(47.5%) 순으로 컸다.자녀 수별로 보면 1명(53.9%), 2명(53.3%), 3명 이상(49.5%) 순으로, 자녀가 많을수록 맞벌이 가구 비중이 작았다.막내 자녀 연령이 18세 미만인 가구를 대상으로 전체 자녀 수를 집계한 점, 자녀가 3명 이상인 맞벌이 가구 수가 적은 점 등에 따라 해당 통계의 변동성이 크다고 통계청은 설명했다.지역별로 보면 맞벌이 가구 비중은 제주(63.5%), 전남(56.4%), 세종(55.8%) 순으로 컸다.1인 임금근로자 가구의 임금 수준을 보면 월평균 임금이 200만원 이상 300만원 미만인 가구 비율이 35.3%로 가장 많았다. 300만∼400만원(23.7%), 400만원 이상(17.5%), 100만∼200만원(12.9%) 등이 뒤를 이었다.월급이 100만원 미만인 가구는 10.7%였다. 혼자 살아가는 임금근로자 10명 중 1명은 월급이 100만원에 못 미치는 것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