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금속노조 포항지부 포스코지회가 3번의 시도 끝에 마침내 민노총에서 탈퇴했다. 포스코지회는 지난 13일 대구지방고용노동청으로부터 노조설립 신고증을 받아 ‘포스코자주노동조합’으로 새 출발했다. 포스코자주노조는 “특정 집단을 위한 하부 조직 형태가 아니라 노동자를 위한 조직으로 다시 태어나겠다”고 선언했다. 포스코자주노조는 분명 노조문화에 새바람을 예고하고 있다. 한노총이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참여를 중단한 이후 정부가 MZ노조나 비정규직 노조의 참여를 독려하는 상황에서 포스코 노조의 민노총 탈퇴는 노조문화가 이제 변하고 있음을 나타내주는 대목이다. 포스코 노조는 지난해 11월 2차례 조합원 총투표에서 모두 70% 가까운 찬성으로 산별노조 탈퇴를 의결했으나 절차상 문제로 발목이 잡혀 있었다. 투표 공지기간이 규정(7일)보다 짧았다는 것과 금속노조가 포스코지회 간부들을 제명하거나 징계해 총회 소집권자 없이 총회와 투표가 진행됐다는 이유 때문이다. ‘가입은 할 수 있어도 탈퇴는 안 된다’는 마치 조폭 영화에서나 나올 법한 상황이 실제로 벌어진 것이다. 포스코노조가 민노총을 탈퇴한 건 포스코 직원의 이익을 대변하며 함께 움직이지 않는 것에 대한 불만 탓이다. 또 “금속노조가 조합비만 받아가면서 비정규직 노조나 복수 노조처럼 어렵게 노조 활동을 하는 사람에겐 아무런 관심이 없었다”는 게 가장 큰 이유다. 무엇보다 지난해 9월 힌남노 태풍으로 포항제철소의 피해가 극심했는데도 민노총 금속노조가 별다른 지원을 하지 않은 것이 노조원들이 등을 돌린 결정적 계기가 됐다는 것이다. 그동안 ‘기득권노조’, ‘귀족노조’라는 양대 노총 행태에 환멸을 느낀 근로자들이 새 노조를 만드는 분위기는 이제 거스를 수 없다. 대기업과 공기업 노조를 중심으로 최근 MZ세대 중심 노조인 새로고침협의회 가입을 타진하는 등 기존 노조에서 탈퇴하려는 움직임이 거세지고 있다. 그런 측면에서 포스코노조의 민노총 탈퇴는 또 다른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이제 노조도 기업과 함께 공생하지 않으면 살아남지 못한다는 진리를 이번에 보여준 것이다. 포스코 노조의 민노총 탈퇴를 환영하며 힘찬 박수를 보낸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