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가 추진중인 수소환원제철소 건립에 정부가 적극 지원하겠다고 그제(14일) 밝혔다. 포스코 수소환원제철소에 대해 이미 경북도가 지역 미래 성장동력의 중심축으로 판단하고 건립에 총력을 쏟기로 한 가운데 이번에 정부의 지원사격은 포스코 뿐만 아니라 경북, 포항경제 에도 크게 숨통을 트여주는 일이다. 지난 14일 산업통상자원부 황수성 산업기반실장이 포스코 포항제철소를 찾아 탄소 다배출 업종인 철강업계의 탄소중립 대응 노력을 점검하고 업계의 다양한 의견을 들은 후 내린 결정이라 정부의 대응방침에 관심이 쏠린다.
탄소중립 문제는 이미 세계적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포스코만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적으로 수행해야 할 거대 프로젝트로 미래생존과 직결되는 문제다. 정부와 산업계는 제조업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는 다른 국가보다 탄소중립에 더 많은 비용과 노력을 쏟아야 할 것으로 보고 있다. 산업부는 내달 ‘탄소중립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 연구수행 기관을 선정해 이같은 철강 업계의 탄소중립문제를 본격 지원키로 했다. 우선 올해부터 2030년까지 해당 사업에 국비 6947억원을 투입하며 이 중 1204억원을 포스코 수소환원제철소에 지원한다.포스코는 오는 2025년까지 수소환원제철 기술인 ‘하이렉스’(HyREX) 설계 기술을 확보하고, 2030년까지 100만t급 실증 생산설비 개발을 완료하겠다는 로드맵을 제시했다. 2050년까지 현재의 탄소 기반 제철 설비를 모두 수소환원제철 방식으로 바꾸어 정부 정책에 적극 부응하겠다는 계획이다. 수소환원제철은 탄소 덩어리인 코크스 대신 수소를 이용해 이산화탄소가 아닌 물을 배출해 탄소중립을 실현하는 신제철공법이다. 정부는 2050년 산업 부문 탄소배출 감축 목표로 2018년 대비 2억1000만t으로잡고 있다. 이 중 약 40%(8630만t)를 수소환원제철 도입을 통해 가능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포스코 수소환원제출소는 이제 국가적으로 반드시 필요한 프로젝트인 만큼, 경북도나 포항시 차원에서도 적극 지원에 나서야 한다. 지금 세계 각국은 탄소중립을 위해 자국 철강기업들의 수소환원제철 기술을 도입을 위해 정부 차원에서 엄청난 지원을 하고 있다. 스웨덴의 사브(SSAB)와 독일의 잘츠기터(Salzgitter)는 정부로부터 천문학적인 재정지원을 받고 있고, 일본은 철강 분야 탄소중립을 위해 10년간 3조엔(약 28조원)을 투자하겠다고 발표했다. 전 세계가 탄소중립문제에 발벗고 나서고 있는 만큼 윤석열 정부도 포스코 수소환원제철소 건립에 적극 나서야 한다. 여기에 경북도나 포항시의 협조는 필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