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이차전지 특화단지 도시 지정이 이제 얼마남지 않았다. 가장 유력한 포항을 비롯 울산, 충북, 전북이 마지막 경합을 벌이고 있다. 현재까지 예측으로는 이차전지 인프라가 잘 갖춰진 포항이 가장 유력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그 이유로는 이차전지의 핵심 소재인 리튬을 포스코(포스코홀딩스)가 가장 많이 확보하고 있고 그 해당도시가 바로 포항이기 때문이다. 이차전지 핵심 소재인 리튬 없이는 양극재나 배터리를 생산할 수 없다. 때문에 이차전지 핵심 소재인 리튬을 가장 많이 확보하고 있는 포스코의 포항을 배제하고는 이차전지 특화단지 지정을 논할 수 없다는 얘기다. 결국 이차산업의 성공은 핵심 소재인 리튬을 어떻게 확보하느냐에 달린 것이다.
그렇다면 포스코가 세계에서 가장 많은 리튬을 확보할 수 있었던 비결은 뭘까. 그 이면에는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의 미래를 예측한 높은 안목이 있었기에 가능했다는 평가다. 최 회장의 이런 미래예측과 ‘뚝심’이 있었기에 오늘날 포스코퓨처엠 같은 세계적 기업이 재탄생하게 된 비결이라는 것이다. 최 회장은 포스코그룹 회장으로 부임하기 이전인 포스코케미칼(현 포스코퓨처엠) 대표이사로 재직할 때부터 소재(리튬)산업이 앞으로 포스코의 미래 먹거리임을 직감하고 이 사업에 올인했던 것이다. 그야말로 ‘신의 한수’였다. 그는 아르헨티나 리튬 광산이 있는 살타주의 4000m 고지대를 직접 올라가 계약을 성사시킨 장본인이다. 그 당시 정부나 업계에서도 반대가 많았으나 그는 끝까지 고집을 굽히지 않았다. 포스코는 세계 최대 규모 아르헨티나의 리튬광산을 확보하고 있다. 지난 2018년 8월, 호주의 갤럭시리소시스사로부터 1만7500ha에 달하는 아르헨티나 옴브레 무에르토(Hombre Muerto) 염호를 미화 2억8000만 달러, 한화 약 3300억원에 인수했다. 이후 인근 추가 광권을 계속 획득하면서 여의도 면적의 약 27배(2만2800ha)의 리튬광산을 확보하고 있다. 또 리튬광산에 들인 총 투자비는 모두 8억3000만달러(한화 약 9500억원)에 이른다. 아르헨티나 옴브레 무에르토염호의 최종 리튬 매장량은 인수 당시 추산한 220만톤보다 6배나 많은 1350만톤(전기차 약 3억7000만대 생산량) 규모다. 그런면에서 리튬을 가장 가까이서 공급할 수 있는 포스코, 이차전지 생산업체인 포스코퓨처엠, 에코프로 등 세계적 기업을 보유하고 있는 포항이 이차전지 특화단지로 지정되는 것은 당연한 귀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