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가 포스코 수소환원제철소 건립에 적극 협조하겠다는 방침을 세웠다고 한다. 듣던중 반가운 소식이다. 그 첫 번째로 포항시ㆍ포스코와 협력해 무산된 주민설명회를 빠른시일안에 다시 열어 주민을 설득하는 일부터 나서겠다는 것이다. 경북도는 지난주 내부적으로 탄소가 배출되지 않은 수소환원제철소 건립이 경북에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판단하고 도 차원에서 전 행정력을 집중키로 결정했다. 수소환원제철소가 탄소중립 뿐만 아니라 국가기간산업으로서 지역의 주요 미래먹거리를 생산할 수 있다는 점에서 경북 경제의 중심축은 물론 지역발전을 위해서도 이 산업이 조속히 추진돼야 한다는 것이다.
우선 무산된 주민설명회를 다시 개최하기 위해서는 공람절차 등 여러단계를 거쳐야 하는 만큼 도청내 관련부서가 적극적으로 이를 뒷받침해 최대한 빨리 열도록 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를위해 경북도는 매립산단이 통과될 때까지 관련부처와 1대1 매칭을 통해 행정절차를 밟아 나간다는 방침이다. 대략 관련부처는 15~16개 부서가 될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또 부서간 업무의 원활한 협의를 위해 태스크포스팀을 구성하고 팀장에는 경북도 건설도시국장을 앉힐 계획이다. 관련 논의가 빨리 추진될 경우 오는 8월중에 주민설명회 다시 개최될 것으로 보고 있다.또 여러 가지 절차를 포항시와 포스코가 감당하기에는 쉽지가 않다고 보고, 경북도가 보다 적극적으로 문제해결에 나선다는 것이다. 여기에 발맞춰 중앙부처를 설득하는 일 또한 병행해 나가야 한다. 포스코 포항제철소 수소환원제철소 건립은 포항 뿐만 아니라 경북의 또 하나 기회다. 포스코 제2의 창업과 맞먹는 시너지를 안겨주는만큼 경북도의 적극적인 대처는 시의적절해 보인다. 포스코 수소환원제철소는 포항제철소내 송정, 송내, 동촌, 제철동 일원 공유수면을 매립해서 40만여평의 부지를 확보해야만 가능하다. 제철소 내 공유수면을 메우지 않고서는 공장부지를 확보할 수 없다. 첨단 제철공법의 특성상 제철소와 멀리 떨어진 제3의 장소에서는 시설물 설치가 불가능하다. 포스코가 이 사업을 시작하게 된 동기는 이제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탄소배출 문제 때문이다. 포스코 포항제철소의 수소환원제철소 건립을 위해서는 경북도와 포항시, 포항시민이 힘을 모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