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안종규기자]고혈압 환자가 목표혈압(140/90mmHg)이하로 혈압을 관리할 경우 심·뇌혈관질환 위험이 최대 약 60% 감소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심혈관센터 연구팀(고려대 구로병원 심혈관센터 나승운 교수·병리과 김정분 기사장·고려대학교 심장혈관연구소 최병걸 교수·보건과학연구소 이민우 교수)은 2007년부터 2014년까지 질병관리청·국민건강영양조사에 등록된 18세 이상 성인 3만 8천여 명의 고혈압 유병율과 고혈압 환자의 20년 간 심·뇌혈관질환 위험변화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이 확인됐다고 17일 밝혔다.분석 결과 고혈압 병력이 20년 이상 되면 뇌졸중은 12.2%, 허혈성심장질환 14.6%, 심근경색 5.0%, 협심증 10.6%를 겪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목표혈압 이하로 혈압을 관리할 경우 뇌졸중 위험은 37.2%, 허혈성심장질환 27.7%, 심근경색 30.7%, 협심증 29.4% 각각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보통 고혈압 환자들이 혈압 관리를 하면 관련 있는 만성 질환들도 같이 호전되는데, 이를 고려하면 뇌졸중은 59.2%, 허혈성심장질환 58.6%, 심근경색 55.2%, 협심증은 60.1%까지도 발병 위험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또 우리나라 고혈압 환자의 대다수는 약물치료 등 적절한 치료를 병행하고 있지만, 약 60%의 환자만이 목표혈압 이하로 관리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혈압 유병률은 연령별로 30대 10.7%, 40대 22.4%, 50대 37.6%, 60대 54.2%, 70대 64.8%로 나타나 70대 이상 성인의 3명 중 2명이 고혈압을 앓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혈압 환자의 평균 나이는 55.8세로 분석됐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보건통계 2022에 따르면 우리나라 인구의 기대수명이 83.5세임을 감안하면 우리나라 국민이 기대수명까지 생존할 경우 30여 년간 고혈압을 관리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