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동해 앞 해상에서 최근 크고 작은 지진이 잇따라 발생해 불안감을 키우고 있다. 지난달 23일부터 불과 3주간 규모 2.0 미만까지 포함해 무려 36차례나 발생했다. 지난 15일 오전에는 동해시 동북 해역에서 규모 4.5의 지진이 발생했다. 올들어 한반도에서 발생한 지진 중 가장 큰 규모다. 한반도와 주변 해역에서 규모 4.5 이상 지진은 1년 5개월 만이다. 지진 빈도가 갑자기 늘어나면서 지역 주민들도 불안하다. 관계 당국도 지진위기경보를 ‘관심’에서 ‘주의’ 단계로 격상했다. 가장 우려스럽고 염려되는 것은 동해 인접에 있는 울진 원자력발전소의 안전문제다. 동해안은 울진을 비롯 경주 월성 등 무려 18개의 원자력 발전소가 밀집돼 있는 곳이다. 특히 경주의 월성원전 가까이에는 설계 때부터 지진 가능성을 고려해야 할 활성단층이 최근 5개나 발견돼 언제라도 대형 지진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또 다른 문제는 이번 지진이 ‘역단층에서 발생했다’는 것을 제외하고 파악된 사실이 아무것도 없다는 점이다. 한국은 육지에 대한 단층 조사조차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바다 속 수심분야는 사실상 ‘깜깜이’ 수준이다. 기상청조차도 “해당 해역에 알려진 단층은 없다”고 인정할 정도다. 전문가들은 혹시라도 동해 해저 단층이 한꺼번에 붕괴하면 규모 7.0 지진까지 발생할 수 있다고 진단하고 있다. 역사적으로도 779년 경주에서 100여 명이 사망했고, 1643년에는 울산에서 ‘땅이 갈라지고 바다 가운데 큰 파도가 육지로 1~2보 나왔다가 되돌아갔다’는 쓰나미 기록도 있다. 동해안지역은 역사적으로도 결코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다.무엇보다 친원전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윤석열 정부는 이번 동해 지진을 예의주시해야 한다. 원전의 내진 성능 보강과 방사능 방재 업무와 주민 대피 훈련을 위한 최소한의 지원책인 원자력안전교부세 법안부터 통과시켜야 한다.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태를 반면교사로 삼아 울진과 경주 등 동해안 원전 인접지역 주민들이 불안해 하지 않도록 국가가 먼저 대책을 세워 주길 바란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