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 기가팩토리(전기차생산공장) 공장의 포항유치가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다. 미국을 국빈 방문했던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달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를 만나 테슬라 기가팩토리 공장의 한국(포항) 신설을 재차 요청했기 때문이다. 포항시를 비롯 울산과 강릉 등 국내 7개 항만도시들이 테슬라 유치에 나서고 있으나 입지조건면에서는 포항을 따라 올 도시가 없다. 윤 대통령은 당시 머스크에게 특별히 제작한 브로슈어를 전달하면서 “테슬라가 한국 투자를 결정한다면 입지·인력·세제 등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했다. 이에 머스크는 “한국은 기가팩토리 투자지로서 여전히 최우선 후보 국가 중 하나”라고 응답했다. 때문에 머스크가 한국을 다시 방문할 경우 윤 대통령과 한 약속대로 테슬라 유치 가능성은 커지고 있다. 윤 대통령은 지난해 11월에도 머스크와 화상 면담을 통해 테슬라의 한국투자를 요청했고, 머스크도 “한국이 최우선 투자 후보지 중 하나”라고 말했었다. 그 후 국내에서 포항을 비롯해 울산, 강릉 등 7개 지역에서 테슬라 유치 계획을 정부에 전달했다. 특히 포항은 영일만산업단지 인근에 50여만평 규모의 테슬라산단을 조성키로 하는 등 발 빠르게 응수했다. 그러다가 지난 1월 한 외신이 테슬라가 인도네시아와 기가팩토리 공장 신설을 잠정 합의했다는 기사를 보도하면서 테슬라 유치 열기가 사라졌다. 테슬라가 한국에 제2 기가팩토리 전용공단을 신설할 경우 그 적합지로는 포항이 단연 0순위다. 포항은 전기차에 들어가는 이차전지 소재(양극재.음극재), 배터리 등을 생산하는 포스코퓨처엠과 에코프로 등 글로벌 이차전지 기업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포항은 영일만항 물류 인프라와 원활한 교통망에다 안정적인 철판 공급망을 갖춘 포스코, 전기차의 핵심부품인 이차전지 클러스터, 포스텍의 연구기반까지 구축돼 있어 기가팩토리 공장 입지로는 타 도시 보다 우위에 있다. 포항시가 영일만산단에 추진하는 테슬라 전용공단은 자동차를 선적할 영일만항과 바로 붙어 있어 해외로 수출하는데도 물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이제 포항 뿐만 아니라 TK(대구경북)도 테슬라 기가팩토리 유치에 사활을 걸어야 한다. 테슬라 유치는 이차전지 도시 포항은 물론 TK의 미래먹거리이기 때문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