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최종태기자]포항시가 최근 이차전지,바이오 등 신 산업분야에서 대규모의 투자유치를 이끌어내면서 산업용지 부족사태로 이어지고 있어 용지확보가 시급하다.특히 이차전지 분야에서 무려 7조3천억원의 투자유치에 성공함으로써 이차전지 집적단지인 포항영일만산업단지는 대부분 분양이 완료됐고, 블루밸리 국가산단과 융합기술 산업지구에도 음극재 그래핀, 바이오 신약 개발 등 관련 기업들이 빠른 속도로 들어서고 있다. 시는 ‘미래산업의 쌀’이라고 불리는 이차전지 분야에서 에코프로, 포스코퓨처엠, CNGR 등 앵커기업으로부터 대규모 투자유치에 성공하며, 향후 투자금액은 12조 6,500억 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이처럼 시의 괄목할만한 투자유치로 산업용지 부족사태로 이어지면서 투자가 포항이 아닌 다른 도시로 옮겨 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포스코는 최근 포항제철소내에 용지 부족으로 광양제철소에 이차전지 소재, 수소산업 등 차세대 신성장 동력 산업 관련 4조4천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라 밝혀, 산업용지 부족사태가 눈앞에 현실로 닥쳤다.물론 이번 포스코의 광양 투자는 제철소 자체 부지내에 투자하는 성격이라 산업용지 부족사태와 관련성이 떨어진다 할 수 있겠으나, 지난 2017년 포스코퓨처엠의 광양 투자는 산업용지 부족에서 비롯된 것이었다.포스코퓨처엠은 지난 2017년 59만4천㎡규모의 이차전지컴플렉스를 조성할 계획이었으나, 포항에서 부지를 확보할 수 없게 됨에 따라 광양율촌산단과 김해공단 중 검토 끝에 광양을 선택했다.당시 영일만 3산업단지는 에코프로가 양·음극재단지 조성을 추진 중이었고, 영일만 4산업단지는 조성되지 않은 상태여서 포스코로서는 불가피한 선택이었다.이같은 실수를 재차 저지르지 않기 위해서는 시는 하루빨리 용지확충을 서둘러야 하고, 포항에 당장 투자를 하고 싶어도 산업용지 부족으로 투자를 기피하는 사태는 막아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그렇다고 포스코퓨처엠이 포항에 투자를 하지 않은 것은 아니다.영일만4산단에 6천억원을 투자하기 시작해 지금까지 영일만 산단과 포항블루밸리산단45만㎡에 모두 3조4천억원을 투자하기로 했다.문제는 앞으로 겪게되는 산업용지 부족 사태이다.용지부족 사태가 도래하면 포항의 미래 신 성장동력산업인 이차전지,바이오 등 신산업에 대한 투자가 줄어들고, 이는 결국 지역 경제에 타격을 줄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산업용지 확보를 위해 포항시는 장기적으로 ‘신산업 개발전략 마스터플랜’추진하고 있지만, 당장 부지가 없어 투자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에 대비해야 한다는 것이다.시는 투자기업들의 입주에 필요한 산업용지 확충을 위해 ‘신산업 개발전략 마스터플랜’을 수립하고, 기업이 적기에 입주할 수 있는 기반 시설 등 환경을 조성하는데 박차를 가하고 있다.시는 7억원을 들여 마스터플랜 용역 절차를 진행중에 있으며 1년 후 결과가 나오면 산업단지 조성 등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기대된다.용역 결과 전이라도 산업용지가 긴급히 필요한 경우에는 신속히 용지확보에 나선다는 계획이다.또한 시는 수소연료전지 부품 관련 기업이 입주하는 집적단지 조성 목적으로 포항블루밸리(1단계)산단 내 28만여㎡가 마련돼 있다고 밝혔다.시는 이곳에 수소연료전지 집적단지 지정을 위한 예비타당성 조사 등 행정절차를 밟고 있는 중이다. 또한 2025년 준공예정인 블루밸리 산단 2단계 부지내 66만여㎡가 입주기업을 위한 용지를 확보해 놓은 상태다.시는 투자유치의 시급성을 고려해 올해 말까지 공장이 입주할 수 있도록 산단조성에 행정력을 결집하고 있다.이와 함께 시는 영일만산단 인근 220만㎡을 추가로 확보해 부족한 산업용지를 확충한다는 계획이다.장기적으로는 포항시의 ‘신산업 개발전략 마스터플랜 수립’용역이 마무리되는대로 산업 용지 조기확보에 나선다.‘신산업 개발전략 마스터플랜’은 포항의 신산업 현황 및 역량 수준, 관련 산업체 조사, 국내외 신산업 전반 정책변화, 성장잠재력 등의 분석을 통해 미래 100년 지속가능한 영일만 밸리 산업 생태계의 발전 방향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김남진 도시안전해양국장은 “미래 신산업 성장이 본격화되면서 기업이 필요한 시기에 바로 입주할 수 있는 산업 용지를 확보해 원활한 기업 유치를 이끌어내는 것이 중요한 과제”라며, “신산업 유치 TF팀을 구성하는 등 신성장산업 유치·육성을 공격적이고 주도적으로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